트레이딩전략

Old HFT, New HFT

1. 어제 저녁 트위터로 글을 남겼습니다. 코스콤이 빅데이타기술을 내놓았네요. 멋집니다. asiae.co.kr/news/view.htm?… 그런데 “증권매매시스템을 개발·운영하며 축적한 내부데이터”가 무엇을 말하는지 궁금하네요. 설마 호가 원데이타? 그러면 심각한 문제입니다. — smith Kim (@smallake) May 22, 2013   위와 같은 트윗을 날린 이유는 ‘증권매매시스템을 개발·운영하며 축적한 내부데이터’가 무엇을 말하는지 궁금했기때문입니다. 트윗으로 소개한 기사 원문은 아래입니다. Big Data라는 단어를 사용하려면 지금까지 해왔던 것과 양적으로 다른 데이타를…
Read more

로컬변동성 모델링 및 VIX지수를 활용한 변동성투자전략

1. 금융공학포럼에 올라온 행사입니다. [세미나] 로컬변동성 모델링 및 VIX지수를 활용한 변동성투자전략 저는 문외한이라 잘 모르지만 발표자가 유명한 분이라고 합니다. Bruno Dupire박사라네요. After having headed derivatives research teams at Société Générale, Paribas and Nikko FP where he was a Managing Director, Bruno joined Bloomberg L.P. in 2004. He is best known for his work on volatility modeling, including the Local Volatility…
Read more

트레이딩을 둘러싼 두가지 기사

1. 한동안 너도 나도 트레이더가 되려고 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특히 2009년 ELW 트레이딩이 각광을 받으니까 소프트웨어 개발자라고 하면 트레이더로 전직을 하려고 했었습니다. 레이턴시, 소프트웨어개발 혹은 자동매매라는 단어를 부담없이 받아드릴 수 있었고 ‘소프트웨어 개발능력’이 다른 무엇보다 큰 경쟁력이었기 때문입니다. 영원히 푸른 소나무가 없듯이 트레이딩도 일장춘몽일까요? 물론 자본시장과 거래소가 있는 한 트레이딩은 계속이지만 지금 트레이딩은 무척이나 어렵습니다. 증권사의 직원으로 트레이딩을 하는 분들은…
Read more

고빈도매매 인포그래픽스

1. Marketfy가 HFT를 정리한 Infographic를 발표하였습니다. 기계트레이딩이라는 관점으로 접근하고 있으면 1980년 기계트레이딩의 맹아부터 시작하고 있습니다. HFT의 맹아는 1998년으로 보고 있습니다. SEC가 전자거래소를 인가할 때입니다. 본격적으로 태동한 시기는 2002년이고 2005년부터 확대하였다고 봅니다.

TCA와 관련한 국내외 자료들

1. 어제 열렸던 알고리즘트레이딩포럼 3월 주제는 거래비용분석(Transaction Cost Analysis)이었습니다. 발표자는 Ofir Gefen, ITG managing Director였습니다. ZeroAOS를 오픈하는 관계로 행사에 참가하지 못했습니다. 사전에 받았던 자료로 후기를 대신합니다. 아마 @dolppi님이 행사 후기를 자세히 올려놓지 않을까 합니다. 아마 Low Latency Technology 봄 행사가 예정대로 열렸다면 3월은 TCA의 계절이었을 듯 합니다.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수준에 머물러 있는 TCA를 구체적이고 실무적인 수준으로 내려보고자 ‘ VWAP 전략의 실제적인…
Read more

ZeroAOS API와 기술적 배경

1. 매매를 위한 필요한 정보는 다양하지만 가장 기본적인 정보는 시세, 주문/체결 및 계좌정보입니다. 시세(Market Data Management)는 거래하고자 하는 종목이 시장에서 어떤 흐름을 보이고 있는지를 알고 매매시점을 찾기 위해 필요합니다. 주문과 체결정보(Order Management, Position Management)는 투자자의 거래 현황 – 어떤 주문을 내었고 주문은 현재 어떤 상황인지 -을 알려주는 정보입니다. 계좌정보(Money Management)는 투자금의 현황을 알려줍니다. 이외에 경제뉴스, 공시 혹은 통계자료 등이 있지만…
Read more

Max Dama가 만든 자동매매 PDF

1. Max Dama라는 사람이 있습니다. UC Berkeley를 나와서 현재 Headlands Technologies에 다니는 사람입니다. 저는 일면식도 없습니다. 블로그를 통해 알았던 사람입니다. Max Dama on Automated Trading 2010년 한해동안 블로그를 운영했고 현재는 폐쇄되었습니다. 저는 구글 리더에 옛날 데이타를 모아놓아서 필요할 때마다 보고 있습니다. 두 번 Max Dama가 올린 글을 소개하였습니다.

Market Microstructure 2012 자료

1. 2012년 말 알고르즘트레이딩포럼 3차 세미나의 발표자는 현종석 교수님이었습니다. 한국알고리즘트레이딩포럼 3차 세미나 후기 현종석교수님은 세미나 발표전에 파리에서 열린 Market Microstructure 2012 in Paris에 다녀오셨습니다. 그래서 자료중 마지막에 New Topics In Market Microstructure 2012라는 제목으로 몇 논문을 소개하였습니다. 이 논문들을 살펴보실 기회가 찾아왔습니다.

정정취소가 지배하는 시장에서 살아남기

1. 지난 10년동안 KOSPI200 파생상품시장은 비약적으로 발전했습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으로 보면 세계 1위에 근접합니다. 거래량과 거래대금도 큰 폭으로 늘어났습니다. 통계자료는 없지만 호가주문수량을 보면 더욱더 큰 폭으로 늘어났을 듯 합니다. 전세계 자본시장이 지난 10년동안 보인 변화를 보면 거래량의 증가, 수수료의 감소, 호가수량의 축소가 공통으로 보입니다. 알고리즘트레이딩과 기계에 의한 트레이딩이 시장의 변화를 주도하였습니다.KRX시장도 예외는 아닙니다. 이런 것들은 논문을 쓰는 사람에게 의미가 있지만 트레이더에게…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