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IT

프로젝트할 때 QA가 중요한 이유

1. Geek news에 올라온 You are never taught how to build quality software입니다. 무척이나 공감가는 글입니다. 프로젝트를 할 때 QA와 관련한 업무를 비용으로 생각하였던 제가 떠올랐습니다. 비용이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품질을 위해서도 필요한 일입니다. 알고리즘과 관련한 가이드라인에 Software Quality가 나오는 이유는 버그 등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매매손실때문이 아닐까 합니다. 2. 아래는 DeepML 번역입니다. 중요한 품질 보증 조치가 누락된 소프트웨어 프로젝트에…
Read more

해외컨설팅 및 투자은행의 GAI에 관한 보고서 모음

1. 어떤 기술기업의 창업자와 이사회가 대립할 때 전세계의 관심을 받은 사례가 없습니다. 비슷한 사례가 애플이사회와 스티브잡스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그렇지만 1985년 잡스 해고할 때와 이번 사태를 비교하면 하늘과 땅만큼 차이가 있습니다. 그만큼 OpenAI의 미래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영향력이 큽니다. AGI가 그려갈 미래에 대한 낙관과 비관이 공존하고 있기도 합니다. 새로운 기술이 등장할 때 가장 민감히 반응하는 것은 ‘돈’입니다. 자본일 수도 있고 투자일…
Read more

블록체인 기반의 청산결제시스템 실패?

1. 해외금융회사들중 많은 회사들이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한 시스템을 구축중입니다. 그중 하나가 ASX입니다. 호주증권거래소입니다. 매매체결시스템이 아닌 청산결제시스템입니다. 프로젝트를 맡아 진행하는 회사는 유명한 Digital Asset입니다. Daml Smart Contracting Technology Customer Story: ASX 사건의 출발은 2022년 11월 보고서입니다. 엑센추어가 CHESS 재구축프로젝트를 분석한 후 권고보고서   Accenture Delivery Review 를 내놓았습니다. 위 자료를 보면 가장 중요한 지점인 일정입니다. 예정된 일정내에서 가동할 수 있을지 불확실하다는 점입니다….
Read more

은행간 시장 관행 및 인프라 개선 방안

1. 외환시장 구조 개선방안 – RFI와 대고객외환중개업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외환시장 구조 개선방안의 후속조치로 은행간 시장 관행 및 인프라 개선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아울러 이상의 개선방안을 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외국환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확정하였습니다. 대(對)고객 외국환중개업 도입을 주요 내용으로 하는 「외국환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을 심의・의결 법적인 뒷받침이 반드시 필요했던 “대고객 외국환중개업부”와 관련한 법적 그림이 나왔습니다. 2. 외국환거래법 일부개정법률(안)중 몇가지 조문을 소개합니다. 먼저. 대고객외국환전자중개업무. 제9조의2(대고객외국환전자중개업무) ① 전자거래…
Read more

Branchless Computing 둘째 어셈블리

1. 프로그램 개발과 관련해서는 비전문가이지만 글을 읽으면서 어셈블리언어라는 단어를 자주 접했습니다. Branchless Programming을 설명하여서 어셈블리코드를 소개하는 경우가 많았기때문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간단히 어셈블리코드를 확인할 수 있는 Compiler Explorer라는 서비스를 확인하였기때문이기도 합니다. Compiler Explorer is an interactive online compiler which shows the assembly output of compiled C++, Rust, Go (and many more) code. 2. Branchless와 관련한 Before 및 After 코드가 어떻게 CPU에서…
Read more

Branchless Computing

1. 오랜만에 ssrn에서 HFT를 키워드로 해서 검색을 해보았습니다. 대부분 뻔한 논문들인데 전혀 예상하지 못한 논문이 한편 보였습니다. Semi-static Conditions in Low-latency C for High Frequency Trading: Better than Branch Prediction Hints 논문을 보면 요즘 CPU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에게는 무척이나 생소한 분야입니다. CPU의 구조와 원리를 알아야 합니다. 논문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해도 기본 개념 하나는 익히려고 찾아보았습니다. Branch Prediction 이와 관련한 여럿…
Read more

외환 선진화 중간점검

1. 외환선진화 정책중 우선 시행하는 제도는 “국내 외환시장에 직접 참여하는 해외 소재 외국 금융기관(RFI)”입니다. 이와 관련한 법적인 준비는 외국 금융기관의 외국환업무에 관한 지침이 시작입니다. 기획재정부는 23년 9월 「외국 금융기관의 외국환업무에 관한 지침안」 행정예고을 공지하였습니다.이 지침에서는 Registered Foreign Institution를 ‘해외외국환업무취급기관’으로 명명하기로 하였습니다. 제1-2조(용어의 정의) 이 지침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1. “해외외국환업무”란 해외에 소재한 외국 금융기관이 국내 은행간시장에서 국내 금융기관…
Read more

100M시세의 우선호가로 주문이벤트를 만들 수 있을까요?

1. 한국거래소가 차세대시세분배시스템을 가동하면서 의욕적으로 추진하는 일이 100M입니다. 저는 처음 100M서비스를 들었을 때 Raw 데이타 서비스인 줄 알았습니다만 제가 착각을 했었습니다. 나중에 나온 자료를 보니까 착각을 했지만 데이타의 성격을 동일합니다. 다만 우선호가정보라는 형식으로 제공할 뿐입니다. 코스콤 데이타정보시스템에 올라온 10월 18일자 설명회자료중 일부입니다. 이 자료에서 주의깊게 보아야할 부분은 “우선호가 송출제어 유지”입니다. 12M서비스는 이렇게 설명합니다. “(우선호가)일정주기로 우선호가 변경내역을 송출하여 초당 900건이 송출되도록…
Read more

PTP의 정확도(Precision)과 지연(Latency)

1. DMA서비스를 제공하는 증권사나 선물사는 거의 대부분 PTP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이 때 DMA용 매매서버를 구축할 때 ptp설정을 해주어야 합니다. 이와 관련한 글은 Mellanox, Chelsio 카드와 PTP 프로토콜에서 다루었습니다. 최근 ptp때문에 고민하고 있습니다. 질문은 이렇습니다. A사와 B사 모두 ptp를 이용하여 시간을 동기화합니다.시간상으로 보면 A가 빠른데 체결율은 B사가 빠르네요. 왜 그럴까요? ptp라고 하지만 ptp도 오차가 있습니다. 오차를 발생하도록 하는 요인을 찾아보면서 눈에 들어온…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