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IT

코스콤과 KRX이 계획하는 클라우드서비스

1. “클라우드가 금융회사에 미치는 영향” 뭐 이런 논문제목 같은 글을 쓸까 하다가 바꾸었습니다. 클라우드환경으로 서비스를 제공하려는 코스콤과 한국거래소의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입니다. 먼저 한국거래소 입찰공고입니다. Cloud 기반 데이터 비즈니즈 모델 구축 컨설팅 용역 제목만 놓고 보면 클라우드가 핵심으로 보입니다. 해외 거래소를 보면 Raw 데이타를 과거데이타형식으로 판매하는 것으로 넘어서 pcap형식으로 제공합니다. 패킷을 갈무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하여튼 클라우드를 이용하여 어떤 서비스를…
Read more

BIS의 Unified Ledger로 통합하는 토큰경제

1. 한국은행은 몇 년동안 자체적으로 CBDC와 관련한 프로젝트를 수행하였고 관련한 결과를 발표하였습니다. 한국, 싱가포르 및 일본 중앙은행의 블록체인시험 한국은행 CBDC 연계시험과 Consensys 이제 여기서 한발 나아가 BIS 및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과 협력하여 CBDC 활용성 시험을 추진한다고 합니다. 한국은행-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BIS와 협력하여 미래 통화 인프라 구축을 위한 실험 공동 추진 보도자료중 ‘한국은행-국제결제은행(BIS) 공동 발간 보고서’는 활용성테스트와 관련하여 자세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아래는 요약입니다….
Read more

STO와 관련한 국회 정책세미나 자료

1. 국회도서관이 제공하는 서비스중 국회의원 정책자료가 있습니다.국회의원이 주최 혹은 주관하는 정책세미나의 자료를 온라인으로 찾아볼 수 있도록 합니다. 2023년에 있었던 세미나중 STO와 관련한 자료중 관심있는 자료를 추렸습니다. 주최 국회의원이 누구인지는 밝히지 않겠습니다. 먼저 금융산업의 패러다임 전환과 가상자산 혁신 : 한국경영정보학회 디지털자산연구회·서울경제신문·디센터 공동세미나. 자료중 관심이 갔던 자료를 미래에셋증권 류지해 디지탈자산TF 이상의 “토큰증권 웹 3.0의 출발점”입니다. 눈에 들어오는 단어는 “겸업금지”입니다. 발행사업자와 유통사업자가 같을…
Read more

Deep Hedging – Learning to Trade

1. JP Morgan의 Deep Hedging. 그동안 올린 글은 네편입니다. JP Morgan의 Deep Hedging JP Morgan의 Deep Hedging 둘째 Deep Hedging 2.0 – MDP와 Bellman Equation Quantum Deep Hedging vs BloombergGPT 오늘은 Deep Hedging 연구에 참여한 Dr. Hans Buehler가 DeepHedging을 주제로 한 Learning To Trade에 올린 강의노트입니다. Deep Hedging 2.0 – MDP와 Bellman Equation를 소개한 이후 같은 사이트를 확인해보니까 강의노트가 총…
Read more

일본 디지탈증권비지니스와 한국의 토큰증권

1. 2023년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정책중 가장 영향력이 큰 정책은 ‘토큰증권정책’입니다. 이미 토큰증권의 장내화, STO 그리고 유통시장에서 다루었던 내용입니다. 새로운 증권이 토큰증권이 어떤 시장이 될지를 도표화한 자료입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내용입니다. 한국의 디지탈토큰시장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날까요? 먼저 미국 증권형토큰 시장동향 및 정책논의에 나온 STO와 일반증권의 업무흐름 비교입니다. 좀더 상세한 내용을 알기 위해 일본 자료를 찾아보았습니다. 출발은 해외금융 Issue Journal(2023-7호)] 일본 증권형토큰의 현황(동경사무소)입니다….
Read more

씨티은행이 제시하는 국가간지불결제의 미래

1. 씨티은행이 발간하는 보고서를 보면 ‘Future’라는 제목을 사용하는 보고서가 많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보고서가 씨티은행 ‘은행의 미래’ 3부작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보고서는 Future 시리즈중 국가간지급결제와 관련한 보고서입니다. 얼마전 금융위원회가 후원하는 “코리아 핀테크 위크 2023″가 열렸습니다. 이 때 전시에 참가한 업체를 보면 지불결제기업이 많습니다. 한국핀테크기업중 성공적으로 시장에 자리잡은 분야가 지급결제이기 때문입니다. 같은 행사때 열린 세미나의 주제중 지급결제도 여럿이었습니다. 보도자료에 실린 핵심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Read more

FIX/OMS를 넘어 FIX Trading Service를 …

1. Open API + DMA + FIX = DMA에 대한 새로운 상상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FIX 교육을 준비하고 진행하면서 많은 고민을 했던 부분이 “FIX/OMS라는 틀을 넘어서 새로운 시스템이 가능할까”입니다. 한국FIX는 코스콤이 운영하는 STP-Hub와 연결한 FIX 서비스를 제외하면 변변한 것이 없습니다. 이전부터 들었던 내용을 포함하여 몇 가지 떠오르는 서비스가 있었습니다. 첫째 Market Data Service입니다. CME를 포함하여 해외 주요거래소를 보면 FIX를 이용한 시세서비스가…
Read more

한국은행이 정리한 미국지급결제서비스

1. 한국은행이 조사연구하는 분야중 ‘지급결제’가 있습니다. 이와 관련한 보고서를 정기적으로 비정기적으로 발행합니다. 정기 보고서는 연단위로 발행하는 지급결제보고서가 있습니다. 비정기적으로 나오는 자료는 지급결제조사자료가 있습니다. 이외에 지급결제와 관련한 업무정보로 주제별 보고서를 발행합니다. 오늘 소개할 자료는 2023년 현재까지 발행한 업무정보중 미국지급결제서비스와 관련한 보고서입니다.애플사의 금융업 진출 현황 및 시사점에서 관심이 갔던 부분은 골드만삭스와 제휴한 애플통장입니다. 애플통장과 유사한 서비스로는 네이버페이 머니 하나통장이 금융혁신지원 특별법에 따라…
Read more

유관기관과 애증의 관계인 대체거래소

1. 자본시장연구원에 이어서 한국금융연구원도 대체거래소를 주제로 한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대체거래소(ATS) 출범과 향후 과제 내용은 특별하지 않습니다. 정책연구자들이 제안할 수 있는 일반적인 이야기입니다. Best Execution도 당연히 빠지지 않습니다. 그럼에도 눈길이 갔던 부분이 있습니다. 정규거래소, ATS, 유관기관들이 소통 창구 및 협의기구 개설을 통해 긴밀한 협조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음. ●ATS가 영업을 개시하게 되면 ATS에 대한 시장감시와 청산 · 결제 기능을 정규거래소에 위탁하게 될…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