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블록체인 및 AI

혁신적 금융서비스 설명회 자료

1. 금융위 추천 해외 혁신서비스와 Weathtech에서 소개하였던 금융위원회가 주관한 ‘해외의 혁신적 금융서비스’ 자료가 올라왔습니다. 해외의 유망한 혁신적 금융서비스를 소개 내용을 보면 무척 방대합니다. 관련한 자료를 이용하여 교육을 하여도 충분한 사례들입니다. 몇 년전 제가 했던 사례교육과 비교하면 범위는 좁게 하면서 내용은 충실히 한 느낌을 가집니다. 국내 유사한 서비스가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 개인적으로 관심을 가졌던 부분을 살펴보겠습니다. 먼저 은행대출중 B2B 공급망대출입니다. P2P대출과…
Read more

국내외 보고서속의 분산금융, Defi

1. 한동안 열심히 블록체인을 공부하고 강의도 해보았지만 실제로 프로젝트를 하지 않으면 잊혀집니다. Distributed Ledger와 관련한 플랫폼을 살피면서 플랫폼으로의 시장진입은 어렵다는 생각을 굳혔습니다. 가끔 중앙은행의 POC나 CDBC와 관련한 기사는 읽고 썼지만 그 이상의 관심은 없었습니다. 작년부터 기사속 “디파이낸스(Definance)”라는 단어를 자주 접했습니다. Distributed Finance의 약자라는 생각을 했지만 무엇이 다를까 하고 그냥 넘어갔습니다. 그러던 중 아래 기사를 읽었습니다. 정확히 ‘미국 연준’과 ‘디파이’라는 단어에…
Read more

Reddit Sentiment Index와 트레이딩

1. 한동안 트위터 트래픽을 이용하여 주가를 예측하는 감성지수(Sentiment Index)가 유행이었습니다. 감성지수과 트레이딩 트위터 감성지수를 이용한 예측지수 모형 트럼프시대의 매매기술, 트위터연동 알고리즘 지금 해외의 경우 SNS를 이용한 감성지수와 관련한 글보다는 SNS의 텍스트를 Altenrnative Data의 한 구성으로 활용하는 방향이 많습니다. 기계학습과 자연어 처리를 결합함 모형입니다. 그런데 개인투자자가 미국시장에서 큰 세력으로 등장하면서 새로운 네트워크가 주목을 받고 이 네트워크에 오르락 내리락 하는 텍스트를 이용한…
Read more

Banking As A Service와 차세대 시스템

1. 은행들을 중심으로 2020년부터 차세대가 진행중이라고 합니다. 직접 제안을 하는 처지가 아니라서 신문을 통해 소식을 접합니다. 더불어 RFP를 볼 수 없습니다. 최근 신한은행이 차세대 프로젝 The NEXT틀 한다고 합니다. 차세대 시스템 구축의 목표는 ‘디지털 플랫폼화’다. 유연한 고객경험, 디지털 기반 업무 플랫폼, 디지털 중심의 뱅킹 플랫폼, 데이터 기반 비즈니스 혁신, IT 디지털 인프라 현대화의 5대전략을 중심으로 시스템을 구축할 계획이다. 프로젝트는 빅뱅방식이…
Read more

금융위 추천 해외 혁신서비스와 Weathtech

1. 금융위원회 보도자료를 정기적으로 본 지 십 수년이 넘어갑니다. 한번도 접한 적이 없는 보도자료 제목에 놀란 하루입니다. 해외의 유망한 혁신적 금융서비스 소개 보통 보고서형식으로 자료를 만들지만 이번에는 다릅니다. 행사로 기획한 듯 합니다. 금융위원회가 자본시장연구원을 협력하여 Zoom을 통하여 혁신적 금융서비스를 소개하는 프로그램입니다. (추진배경) 주요국의 금융규제 샌드박스 신청서비스 또는 유망한 핀테크 기업의 혁신적 금융서비스를 국내 핀테크 기업에게 소개합니다. ◦해외의핀테크서비스사례를통해국내핀테크기업등이 다양한 혁신적 서비스를…
Read more

시장조성자, 공매도, 국내주식 소숫점 거래

1. 코로나패더믹이후 공매도는 내내 화두였습니다. 찬성론과 반대론사이에서 현재에 이르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하여 금융위원회와 한국거래소가 향후 방향에 대한 자료를 발표하였습니다. 시장조성자제도 개선 및 불법공매도 적발 강화 시장조성자 제도와 공매도와 관련한 정책을 한꺼번에 발표하였는데 관심이 가는 부분은 “미니 코스피 200 선물·옵션 시장 조성자의 주식 시장 내 공매도”를 전면 금지하는 내용입니다. \ 시장조성자역할을 하는 증권사는 반대하는 분위기입니다. 증권가는 다소 억울하다는 입장이다. 시장조성자는 매수,…
Read more

문 닫은 Quantopian, 집단지성 알파는 허상?

1. 문을 닫았습니다. 아주 오랜 동안 성장하는 모습도 보았지만 결국 수익을 내지 못한 듯 합니다. 아마추어퀀트시대를 열고 월스트리트의 민주화를 외쳤던 ‘Quantopian’이 막을 내렸습니다. Quantopian의 시작은 2011년입니다. John Fawcett가 설립자입니다. 개인투자자들이 스스로의 알고리즘을 연구개발하는 환경을 제공하고 전략을 수익을 내면 플랫폼이 투자하여 수익을 나누는 모델을 지향하였습니다. Quantopian은 이런 모델을 ‘Cloud Sourcing Alpaht’라고 불렀습니다. Quantopian was launched off the back of that dream….
Read more

소액단기전문보험업과 P2P보험

1. 오랜만의 금융위원회 보도자료. 저와 별 인연이 없는 보험업법이 눈에 들어옵니다. 제목이 무척 선정적이기때문입니다. 일상생활과 밀접한 미니보험(반려견보험, 여행자보험 등)을 판매하는 보험회사의 자본금 요건이 대폭 완화 – 「보험업법」 개정안 국회 본회의(’20.11.19) 통과 미니보험이라는 단어가 귀 쏙 들어왔습니다. 2019년 강의할 때 자주 언급했던 말이기때문입니다. 보도자료중 일부입니다. 보험업 영위를 위해서는 높은 자본금(생명보험:200억원 / 자동차보험: 200억원 / 질병보험:100억원 / 도난보험 : 50억원)이 요구되었는데 신규사업자의…
Read more

위안화 CBDC와 consensys, Quorum

1. 블록체인. 예전에 비해 열기가 식은 듯 합니다. 거품이 사라진 것으로 이해합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통화가 거품을 만든 계기였지만 규제와 급등, 폭락을 거듭하는 시장의 높은 변동성이 한 원인으로 읽힙니다. 그렇다고 블록체인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오히려 파일럿을 넘어서 운영시스템에 적용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습니다. 블록체인에 기반한 암호통화가 통화보다는 자산(혹은 투기자산)으로서의 역할에 한정되고 있지만 중앙은행이 참여하면서 디지탈통화는 현실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그중 대표적인 곳이 중국 인민은행의…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