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시장과 IT

FinBen과 KRX-Bench

1. 우연히 제3회 KRX 금융 언어모델 성능평가 경진대회와 관련한 홍보글을 읽었습니다. “그냥 행사를 하는가 보다”라고 생각하면서 읽다가 생손한 단어가 등장합니다. 한국거래소는 금융과 AI의 융합 기술 선진화에 기여하고, 신뢰할 수 있는 금융 언어 모델의 발전을 유도하기 위해 최신 기술 트렌드를 적극 수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인공지능과 자연어처리 기술의 발전으로 금융 분야에서 언어 모델의 활용 가능성이 크게 확대되고 있습니다. 이에 한국거래소는 금융 특화…
Read more

DMA전략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서버 만들기 둘째

1. DMA전략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서버 만들기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위에서 기록한 서버를 운영환경으로 이행하기 위하여 마지막 시험을 진행하였습니다. 그런데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만났습니다. 해결과정에 대한 기록입니다. 물론 구글링하면서 배운 내용입니다. 첫번째 걸림돌은 Available Memory입니다. 모니터링서버로 전환하려고 한 서버의 설치메모리(Installed Physical Memory)는 192G입니다. 이를 토대로 VM당 8G의 메모리를 할당하여 16개 VM을 만들었습니다. 표준적인 VM을 만들고 필요한 설정을 모두 마친 후 Export/Import를…
Read more

Raspberry Pi OS 그리고 USB 부팅

1. 둘째가 카톡을 보냈습니다. 데스크탑에서 리눅스로 부팅하려고 하는데 되지 않는다는 이야기입니다. 혹시나 해서 리눅스를 설치하여 듀얼부팅을 가능하도록 했는데 문제가 생긴 모양입니다. 둘째는 식물병리학을 전공하는데 머신런닝을 이용하여 병충해를 조기에 발견하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날 때마다 “파이썬 공부해라”, “리눅스 공부해라”라고 잔소리했는데 리눅스를 배우려는 듯 합니다. 지난 주 금토요일 대전을 찍고 고창을 다녀왔습니다. 석사를 마친 둘째가 박사과정에 합격했다고 하니까 과천에서 축하만 할…
Read more

DMA전략 관리를 위한 모니터링 서버 만들기

1. DMA를 위한 서버가 한 두대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누구나 처음에는 한대로 시작하고 수익율이 잘 나오고 거래하는 증권사들이 늘어나면 서버도 늘어납니다. 전략마다 트레이더마다 전략을 운용하는 방식이 다르지만 많은 경우 단말을 통하여 전략을 모니터링합니다. 주문체결 데이타를 주로 살피고 필요한 경우 패러미터를 변경합니다. 서버가 늘어날 경우 전략모니터링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아주 다양한 조건이 있습니다. 만약 Clinet/Server구조에 따라 단말을 개발하지 않는 경우에는 RDP로 접속하여 위…
Read more

Cache latency와 cache hit/miss

1. 2010년 Latency가 한창 유행일 때 고민했지만 한동안 잊었던 주제입니다. 그러다가 우연한 기회에 HFT와 관련한 해외 글을 읽었습니다. 다시금 생각해보면 유의미한 이야기입니다. 특히나 요즘과 같이 마이크로초나 나노단위 초를 기준으로 경쟁을 할 때는 중요합니다. 무슨 주제냐 하면 ‘CPU Cache’입니다. 2012년에 IBM이 만든 자료중 다음과 같은 문장이 있습니다. • Minimize memory latencies (cache misses, non-local memory accesses, page faults, swapping…) – numactl…
Read more

글로벌자본시장동향

1. 한국거래소가 발간하는 자료중 ‘글로벌자본시장동향‘이 있습니다. 정확히 하면 한국거래소 증권·파생상품연구센터가 발행합니다. 비슷한 제목의 자료를 발간하는 곳이 국제금융센터입니다. 국제금융센터가 발간하는 자료는 글로벌 은행산업 트렌드와 주간 Wall Street 인사이트입니다. 제목처럼 국제 자본시장의 동향을 주로 소개합니다만 가끔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기도 합니다. 아래 소개하는 자료는 생성형AI와 클라우드 기술과 관련한 부분입니다. 먼저 글로벌 거래소와 클라우드 기술을 주제로 한 보고서입니다. 보고서가 다루는 거래소는 나스닥과 CME입니다. 나스닥은…
Read more

kdb+의 과거 그리고 미래

1. 참 재미있는 기술이 kdb+입니다. kdb+를 개발, 판매를 하고 있는 KX외에 kdb와 관련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또다른 회사가 있습니다. TimeStored입니다. kdb+와 관련한 프로젝트를 할 때 도움을 엄청 많이 받은 회사입니다. 유료로 서비스를 제공하지만 인터넷으로 자료를 찾아서 배우는 수준의 도움입니다. 여기서 kdb+와 관련한 재미있는 기사 두개를 올려놓았습니다. 첫째는 역사. 10+ Years of kdb+ 위에 올라온 변화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parallel, ipc, websocket이…
Read more

SOR은 그냥 주문시스템이 아닌가요?

1. 오랜만에 시간을 내서 밀어내는 중입니다. 한국형 최선주문집행 가이드라인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SOR과 관련한 자료를 찾던 중 코스콤이 잠깐 개방하였던 블로그를 보았습니다. 지금은 닫은 상태입니다. 무척이나 재미있는 개념을 보았습니다.중개형과 판단형이라는 생소한 단어가 등장합니다. 예전에 받은 자료중 개념을 소개하는 부분입니다. 중개형과 판단형이라는 용어를 만든 이유가 증권사를 대상으로 영업하기 위함입니다. In-House형식으로 SOR을 구축하지 않고 외부시스템을 도입할 경우 사내시스템 환경과 접목하여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Read more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 고빈도매매, 알고리즘매매

1. 솔직히 재무관리학회의 논문을 소개할 목적은 아니었습니다. 최초 목적은 KRX Market 2023/2024 겨울호에 실린 ‘KOSPI200 지수선물시장의 주도세력 변화’을 소개하기 위함입니다. 제가 자주 소개했던 우민철씨 논문입니다. 학회를 통해 발간한 논문이지 확인하지 못했지만 개인적으로는 처음 본 제목이었습니다. 여기에 더하여 한국보험학회에 실린 보험투자자의 고빈도 알고리즘매매 분석을 같이 소개할 계획이었습니다. 두 논문의 공통점은 고빈도매매입니다. 첫번째 논문에서 우민철씨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국내 파생상품시장은 개별주식 및 ETF를…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