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블록체인 및 AI

Private Market Network과 Axial

1. BDC, SPAC 그리고 Internalizer와 ATS는 숨 죽이고 비상장장외거래소는 문전성시?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위의 글은 투자자 입장에서 모험자본의 활성화를 위한 정책을 소개하였습니다. 오늘 소개하는 것은 모험자본이 투자를 회수하는 방법중 하나인 M&A와 관련한 내용입니다. 해외에서는 M&A가 투자를 회수하는 보편적인 방법이지만 한국의 경우 IPO외에 마땅한 방법이 없습니다. 2019년말 배달의 민족 M&A도 IPO와 M&A사이에서 고민한 결과입니다. 배달의민족이 게르만족이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 투자은행에게 M&A는…
Read more

2020년 금융위 업무계획 상세자료중 ‘플랫폼 매출망 금융’

1. 앞선 스몰라이센스와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금융위원회가 2020년 업무계획을 발표한 이후 추가자료를 내놓았습니다. 코로나19 방역으로 온 나라가 정신없는 가운데 실효성없는 정책을 새로 내놓기 보다는 기존 정책을 정교화하고 해설하는 쪽으로 잡은 듯 합니다. 금융위원회 2020년 업무계획 중 핀테크ㆍ디지털금융 혁신과제 2020년 금융위원회 업무계획 상세자료 – 혁신금융 확산을 위한 중점 추진과제 혁신금융과 관련한 자료중 눈에 들어오는 부분은 ‘상거래 신용지수 도입’입니다. 한국형 Paydeck입니다.PayDex는 미국…
Read more

스몰라이센스와 실시간총액결제시스템

1. 오랜만에 금융위원회와 관련한 이야기를 하려고 합니다. 매년 금융위원회는 대통령 업무보고를 하고 이후 국회 정무위원회를 통해 대국회 보고를 합니다. 이를 통하여 금융위원회가 무엇을 할지를 알 수 있습니다. 2020년 금융위원회 업무계획와 200220 정무위 업무보고 자료는 이와 관련한 업무보고입니다. 위 자료를 읽었습니다. 그동안 발표하였고 알고 있던 내용입니다. 그 중 기억속에 없는 내용이 있었습니다. 개별 금융업의 인·허가 단위를 세분화하고 진입요건을 완화(“스몰라이센스”)하여 새로운 혁신도전자의…
Read more

JP Morgan의 Deep Hedging 둘째

1. 몇 년동안 디지탈변환과 관련한 해외 사례중 Goldman Sachs를 주로 살폈습니다. Goldman Sachs의 경쟁력과 IT현황 골드만 삭스의 IT 공개전략 Goldman Sachs, We build 그렇지만 데이타, 기계학습이 주제가 된 후 주로 다루었던 곳은 JP Morgan입니다. 그래서 JP Morgan이 어떻게 트레이딩부분을 변화하고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JP Morgan의 변화를 보여주는 단어는 “Analytics, Automation & Optimization”입니다. 이런 업무와 관련한 직무가 Quantitative Research AA)입니다. JP Morgan의…
Read more

기계학습과 금융을 주제로 한 보고서 셋

1. The Future of Trading: Technology in 2024에 이어서 기계학습과 인공지능 기술이 현재 어느 수준으로 금융산업과 결합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보고서를 소개합니다. AI Pioneers in Investment Management은 2019년 봄에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만들어진 보고서입니다. 보고서는 조사를 통하여 AI의 가능성뿐 아니라 현재 단계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AI와 HI(Human Intelligence)이 결합한 모델을 제안합니다. Their use cases are illuminating. Among other things, they underscore the…
Read more

JP Morgan의 Deep Hedging

1. 두 번 JP Morgan이 발표한 기계학습과 관련한 논문 혹은 보고서를 소개했습니다. JP Morgan이 발행한 기계학습 및 빅데이타 안내서 Morgan Stanley와 JP Morgan이 연구하는 RL 오늘은 JP Morgan의 Hans Bühler이 발표한 Deep Hedging: Hedging Derivatives Under Generic Market Frictions Using Reinforcement Learning을 소개합니다. 2018년 1월에 발표한 논문입니다. Deep Hedging을 소개한 기사입니다. So the JP Morgan quants tried something different. Instead…
Read more

오픈뱅킹 시험서비스와 이후

1. 10월 31일이 아닌 10월 30일. 무슨 날일까요? 이를 아는 분이면 지불서비스와 관련한 일을 하는 분임이 분명합니다.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오픈뱅킹을 위한 시험서비스를 시작하는 날입니다. 본 서비스는 2019년 12월 18일입니다. 10월 30일에 시험을 하는 오픈뱅킹은 무엇일까요? 금융결제원이 오픈뱅킹 이용기관 밋업(Meet-up)데이 개최(9.3) 및 향후 계획에서 소개한 자료중 일부입니다. API이긴 하지만 은행API가 아니라 금융결제원API입니다. 이 점이 해외와 다른 점입니다. 강단점이 있습니다. 금융결제원API이긴 하지만…
Read more

The Future of Trading: Technology in 2024

1. 알고리즘 트레이딩과 관련한 일을 합니다. 그렇다고 알고리즘을 연구하지 않습니다. 끊임없이 변화하고 새로운 연구 및 시도들이 나오고 읽지만 적용할 생각을 하지 않습니다. tensor flow로 이런저런 시험을 해보자고 몇 번 작심했지만 tensor flow를 설치하지도 못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변화에 뒤지지 않으려고 노력합니다. 쫓아가지 못할지라도… 얼마전 bobsguide에 올라온 Algo trading innovations stoke fear despite increased popularity을 보면 금융산업이 알고리즘트레이딩을 어느 수준에서 도입하는지를 알…
Read more

ATS는 숨 죽이고 비상장장외거래소는 문전성시?

1. BDC, SPAC 그리고 Internalizer에 이어집니다. 이 글에서 언급한 BDC와 관련한 구체적인 정책이 나왔습니다. 간담회때 다루었던 범위를 벗어나지 않습니다만 다시한번 소개합니다. 자본시장을 통한 혁신기업의 자금조달체계 개선방안 혁신기업과 관련한 생태계를 바꾸려는 금융위원회의 정책때문인지 몰라도 갑자기 비상장주식을 거래하는 장외주식플랫폼이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습니다. 증권업계, “레몬마켓을 잡아라”…비상장주식 시장 겨냥 플랫폼 ‘봇물’ 을 보면 현재까지 크게 세가지 플랫폼이 시장에 등장하였습니다. 먼저 두나무가 제공하는 ‘증권플러스 비상장’입니다….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