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와 알고리즘 트레이딩

1. 얼마전 머니투데이에서 보도한 기사 “하루 150만건 주문 ‘파생시장의 괴물’입니다.

< 앵커멘트 >

요즘 우리나라 선물옵션시장에 괴물이 출현했다고 합니다. 하나의 계좌에서 하루에 150만 건에 달하는 대규모 주문이 나오는 괴물인데요, 어떤 일이 벌어지고 있는지, 유일한 기자가 보도합니다.

< 리포트 >

지난해 10월 주가가 대폭락하던 날, 증권선물거래소는 비상이 걸렸습니다. 한 외국인계좌에서 상상밖의 대규모 옵션매매 호가가 유입됐기 때문입니다. 이날 문제 계좌에서 나온 호가 건수는 무려 150만여개.

거래가 이뤄진 6시간동안 매초마다 69.4회의 호가를 낸 셈입니다. 사람이 했다면 불가능했을 이 매매는 최첨단 컴퓨터가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우리에게는 다소 낯선 알고리즘 트레이딩이 주인공입니다.

알고리즘 트레이딩 흐름도:

알고리즘 트레이딩은 컴퓨터를 이용한 대량의 자동 매매 기법으로, 미리 지정한 조건에 부합할 때 수량, 가격 등이 자동적으로 계산돼 매매가 이뤄집니다. 주문한 가격이 유효하지 않으면 즉시 취소됩니다.

알고리즘 트레이딩의 장점:

만약 코스피200 선물에 대한 1만계약 매수 주문을 한꺼번에 내면 시세에 직접 영향을 미칩니다. 시장충격 비용이 발생하게
되는 겁니다. 반면 일정한 가격 이내에 50번에 나눠 산다면, 그것도 컴퓨터가 대신 사준다면 훨씬 비용도 덜고 간편합니다.

이런 알고리즘 매매가 세계 최대 거래량을 자랑하는 우리나라의 선물옵션시장을 공격하고 있습니다. 기회만 생긴다면 수만,
수십만건의 호가가 몰리기 때문에 거래소 시스템에 과부하가 걸릴 정도입니다. 알고리즘 매매는 외국인이 주도하며 지난해 50%
성장했습니다. 거래소는 지난해 알고리즘의 공격 이후 큰 돈을 들여 거래시스템을 증설했습니다.

<녹취>증권사 관계자:”

세계 각 거래소의 공통 문제가 알고리즘. 시스템은 유한한대 알고리즘이 활성화되다 보니 시스템 확충 비용 들고…”? 알고리즘 거래의 기승에 거래소는 호가 수수료 부과 등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미 해외의 거래소는 호가에 대한 체결 정도에 따라 차등적으로 수수료를 부과하고 있습니다.

<녹취>거래소 관계자:”과도한 알고리즘 투자자만 수수료를 매기자는 의견을 낸 상태다. 해외 거래소는 호가 수수료와 체결수수료를 이중으로 분리해 받는 게 트렌드다.”그러나 수수료를 부과해 알고리즘을 규제할 경우 자칫 시장 유동성이 줄어들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당국이 선뜻 결정을 내리지 못하는 이윱니다.

MTN 유일한입니다.

2. 개인투자자들이 말하는 시스템트레이딩과 기관투자가들이 말하는 알고리즘트레이딩은 같으면서도 다른 점이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원하는 가격에 사고 팔기 위해 투자자의 지식을 전산화한 컴퓨터프로그램을 이용한다는 점은 같습니다. 다만 주문을 냈을 때 시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기 때문에 – 기관투자가들의 호가물량은 시장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 어떻게 하면 시장에 최소한 영향을 미치면서 기관의 요구에 맞는 체결가를 얻을 것인가가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국내에서? 많이 사용했던? 방식이 Slice Order입니다. 잘게 쪼개기주문이라고 할 수 있죠(^^) 문제는 쪼개는 규칙입니다. 시간단위로 일정하게 할 수도 있고 시장에서 거래된 지난 10년간의 통계데이타에 근거해 모델을 만들 수도 있고…어찌보면 모델이 알고리즘트레이딩의 핵심입니다. 모델도입을 위해 수십억을 들일 수도 있고.

3.중요한 점은 알고리즘트레이딩은 기관투자자의 지식을 전산화하였다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불가능해서 일일이 엑셀로 모델링하고 주문계획을 수립해서 전화로 하였습니다. 그런데 DMA와 FIX등이 도입되고 소프트웨어 기술 – 대용량데이타처리 및 CEP/ESP와 같은 기술개발-이 향상되면서 알고리즘트레이딩이 Buy-Side와? Sell-Side모두에 중요한 이슈가 되었습니다. 조만간 헤지펀드에 대한 정책이 결정됩니다. 그러면 알고리즘트레이딩으로부터 나온 주문이 전체거래소 주문중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지 않을까 합니다. 그러면 국내 Buy,Sell모두 이에 대한 준비를 하여야 하지 않을까요.

2 Comments

  1. soyul's papa

    정말 이젠 <어떻게> 체결시키느냐가 중요해진것 같습니다.
    알고리즘-트레이딩이 활성화될수록 로컬-매칭 기능을 가진 FEP 라든가 트레이딩서버도 중요해질것 같구요.
    국내 트레이딩툴들은 일반위탁고객을 위한 HTS 화면만 전문적이지 서버나 거래소-세션쪽에 전문적인 국내-벤더가 없는것이 많이 아쉬운 요즘입니다.

    Reply
  2. smallake@nate.com

    사실 국내HTS와 해외Trading Tool은 많은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국내의 경우 일반 개인투자자를 위하여 개발된 도구이기때문에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많은 역할을 합니다. 실시간처리나 화면(실제로 서버에서 개발된 로직을 화면은 보여주고 화면은 차트나 주문속도에서 특화됨)반대로 외국트레이딩툴의 경우 서버의 역할은 단순 Third Party의 시세(보통 Level2까지)와 체결접속만을 제공합니다. 대부분은 클라이언트에서 처리합니다. 따라서 외국은 기관투자가를 대상으로 한 제품,말씀하신 주문접속이나 시세등에 강점을 가진 제품 혹은 트레이딩알고리즘을 구현한 제품이 강세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할 때 대상고객이 어떻고 어떤 요구를 가진가에 따라 서로 달리 진화하여 왔다고 생각합니다.

    Reply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