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전거 성지순례 – 절두산성지

1.
한강 북쪽 자전거도를 지나다 보면 양화대교 부근 강변 바위에 들어선 커다란 건물이 보입니다. 절두산성지입니다. 절두산을 한자로 쓰면 切頭山입니다. 조선말 고종때 대원국이 주도한 병인박해때 참형(斬刑)으로 목이 잘린 순교자들을 기리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누에의 머리를 닮은 산이라는 뜻을 지닌 잠두봉(蠶頭峰)은 절두산의 다른 이름입니다.

자전거와 함께 한강을 자주 다녔던 시절 절두산성지를 여러번 지나쳤습니다. 그 때마다 잠시 멈추어 사진을 찍었습니다. 신앙이 없는 눈으로 보면 절두산성지는 아름다운 곳일 뿐입니다. 절두산 성지를 속속들이 살펴본 때는 예비자과정때 성지순례하던 어느 일요일이었습니다. 병인박해때 순교자들이 받았을 고통과 수난을 보여주는 전시물을 살폈고 미사도 참여하였습니다.

다음과 같은 성경말씀이 있습니다.

“이윽고 골고타 곧 “해골터”라는 곳에 이르렀다.” (마태 27,33)

예수님께서 십자가의 죽음을 당한 곳, 골고타입니다. 골고타는 ‘해골’ 또는 ‘머리털이 없는 두개골’을 의미하는 뜻입니다. 예수님이 무덤에 묻히시고 부활하신 곳과 한국의 순교자들이 피를 흘린 곳이 모두 ‘죽음’과 맞닿아 있습니다. 신앙이란 ‘어떤 삶을 살다가 어떻게 죽음을 맞이할 것인가’에 대한 믿음이라는 생각이 아닐까 합니다.

2.
양재천 도로를 타고 남쪽 자전거도로를 타다가 잠수교를 건너서 북쪽 자전거도를 타면 되므로 순례길은 편안하리라 예상을 했습니다. 그렇지만 절두산성지를 자전거로 순례하는 길은 생각보다 고난이었습니다. 바람때문입니다. 그것도 맞바람입니다. 평소보다 페달을 밟을 때 힘이 더 들어갑니다. “순교자들의 고통을 생각하라”는 뜻일까요?

절두산성지를 찾으니 순례객들로 만원이었습니다. 지난 번 순례때 못하였던, 정확히 하면 할 줄 몰랐던 십자가의 길 기도를 바쳤습니다. 다른 곳과 달리 순교자들이 바쳤던 옛날의 성노선공(聖路善功:십자가의 길)을 묵상글로 함께 제시하고 있습니다.

어떤 성당을 가든, 어떤 성지를 가든 성모마리아님에게 촛불 봉헌을 드리는 모습을 봅니다. 아주 옛날 촛불은 어둠을 밝히는 유일한 수단이었습니다. 가장 귀한 것으로 자신의 믿음을 바칩니다. 또한 그런 마음이 모인 촛불은 세상을 환히 밝히는 등대입니다. 누구나 촛불에 마음을 담습니다. 저도 작은 마음을 담아 바칩니다.

20131109112958948

20131109112506301

20131109112007604

3.
성지순례후 점심. “금강산도 식후경”입니다. 한강에서 맛볼 수 있는 뽀글면과 김밥입니다. 이제 돌아갈 때입니다. 가양대교를 넘어 안양천과 학의천을 지나 과천으로 들어오는 길을 찾았습니다.

고척동 둠구장을 지날 때는 몇 주전과 달리 만개하지 않았던 코스코스가 만개하였습니다. 가을의 절정입니다.

20131012142555613

서울대교구가 김대건신부의 유해를 쪼개어 141개가 넘은 곳으로 나누었다고 합니다.

더 많은 사람들이 현양하고 기도하기 위해서다. 한 조각이라도 가까이 모셔놓아야 더 효과적인 현양과 기도가 된다고 판단했던 거다. 그렇다면 세계화되어 지구촌 곳곳에 흩어져 살고 있는 형제들이 돌아가신 부모님을 더 극진히 모시기 위해서라면 유골을 몇등분해서 나누어 가져도 좋단 말인가? 전쟁이나 불의의 사고로 시신이 갈가리 찢어졌더라도 정성껏 한데 모아 형체를 갖추어 장사를 지낸 다음, 그곳에 모여 고인의 뜻을 새기는 것이 살아 있는 사람의 도리이거늘 어쩌자고 한국천주교회는 고귀한 순교자의 유해를 갈가리 찢어 현양이라는 명목 아래 나누고 나팔을 불며 짊어지고 다니는가?

한국 천주교 신자들은 염불에는 마음이 없고 잿밥에만 온통 정신을 빼앗기고 있는 건 아닐까? 오로지 조국과 백성을 위해 바친 순교자의 삶과 정신을 본받기는 애당초 불가능하니 우리는 유해 앞에 엎드려 당신들 공덕의 대가로 흘러나오는 복이나 한 줌씩 챙기겠다는 전형적인 기복신앙의 표출인지도 모르겠다. 과연 작금의 한국 천주교회는 무엇을 성찰하고 반성하며 어디로 가고 있는가?
[삶의 창] 김대건 신부 유해 보존 유감 중에서

달에 한번 봉사가는 곳의 신부님이 깅론때 이런 말씀을 하셨습니다.

“하느님에게 바쳐야 하는 것은 세속적인 것이 아니라 영광이어야 한다.”

요즘 조현씨의 그리스 인생학교를 읽고 있습니다. 에픽테토스의 말입니다.

“그럴듯한 직함과 직위, 명예와 부, 멋진 외모와 유려한 말투, 명품과 매력적인 행동에 우리는 얼마나 쉽게 현혹되는가. 사회적으로 유명한 인사들과 공적인 인물들, 정치 지도자들과 부자들, 예술가와 지식인들이 행복할거라고 지레짐작하지 말라. 남들과 견주어 자신의 성취를 보잘 것 없는 것으로 폄하하며 좌절하고 술퍼하지 말라. 지금 그대 안에 있는, 최상의 자아가 아닌 누군가가 되어 보려는 갈망을 이제는 멈춰라. 그것만큼은 네 뜻대로 할 수 있지않은가.”

나이가 들어도 삶은 여전한 화두입니다. 어렵습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