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블록체인 및 AI

CBDC를 이용한 국경간 지급결제 mCBDC

1. 우연히 JP Morgan의 국경간 지급결제보고서를 읽었습니다. 단순 결제보고서라면 관심을 가지지 않았을텐데 소개글에 생소한 단어가 있었기때문입니다. A full-scale multi-central bank digital currency (mCBDC) CBDC앞에 수식어가 달린 mCBDC. 어떤 내용인지 궁금했습니다. J.P. Morgan releases Unlocking $120 billion in Cross-Border Payments report 보고서에서 말하는 Multi가 무슨 의미인지는 국제결제흐름을 소개한 도표를 보시면 이해할 수 있습니다. CBDC를 이용한 국가간 지급결제시스템에 대한 논의는 BIS를 중심으로…
Read more

VR AR은 넘어서서 메타버스

1. 2018년 올린 AR/VR기반 금융서비스와 체험경제은 AR과 VR을 금융서비스의 관점에서 다루었습니다. 2016년에 시티은행이 발표한 200여쪽에 이르는 보고서를 소개하였습니다. 이 보고서의 서론입니다. VR/AR Related Market Will Grow as the Next Disruptive Innovation In July 2015 we introduced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VR)/ augmented reality (AR) as a disruptive innovation in the next 5-10 years in the Citi GPS report Disruptive…
Read more

Crypto Banking과 Crypto Custody

1. 美, 비트코인 ETF 승인…19일 뉴욕증시서 첫 거래을 포함한 국내외 기사들을 보면 미국 Proshare의 Bitcoin Futures ETF를 NYSE에 상장하여 거래를 미국시간 10월 19일에 시작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두가지입니다. 첫째는 비트코인 ETF가 아니라 비트코인 선물 ETF라는 점입니다. 이미 비트코인 선물은 CME에서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SEC가 승인을 하지 않았을까 추측합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이번에 SEC가 승인하는 상품이 비트코인 ETF가 아닌 비트코인…
Read more

Fast Payment, Cross-Border와 ISO 20022

1. 핀테크중 전세계적으로 가장 성공한 분야는 지급결제입니다. 한국도 가장 큰 영향권안에 있습니다. 토스나 카카오뱅크의 영향력이 이를 증명합니다. 개인적으로 가장 관심을 많이 가지는 분야는 표준입니다. Global Standard입니다. 처음 사업을 시작할 때부터 가졌던 관심사입니다. 최초 투자를 유치한 사업도 FIX였습니다. 지급결제와 표준이 만나면 무엇이 나올까요? 한국은 금융결제원이 표준기관으로서의 역할을 하니까 별 관심이 없지만 해외는 아닙니다. 몇 년전부터 뜨거운 관심사가 ISO20022입니다. ISO 20022을 다룬…
Read more

FX API와 DTC Protocol, DTCHub

1. 국내 시장에서 FX API가 이슈인기 이슈인가 봅니다. 서울외국환중개 대표의 인터뷰중 일부입니다. 중개력 강화를 뒷받침하기 위한 시스템 개발과 확대 노력도 이어갈 계획이다. 올해부터는 국내은행 등과 연계해 API의 도입 활성화를 추진하고 있다. API란 은행들의 트레이딩(거래) 시스템과 서울외국환중개의 중개 시스템 서버 간 전산을 연결해 실시간 외환시장 거래 동향을 알 수 있고 서버 간 거래도 할 수 있게 만든 시스템이다. 시중은행은 API를 통해서…
Read more

외환 API와 증권사

1. 마진FX, 리테일FX 그리고 API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앞서 글을 쓴 이후 몇 가지 흐름이 있었습니다. 그런 흐름을 축약적으로 보여주는 기사가 정부 정책 방향에 또 언급된 ‘외환 API’…당국·은행권 동향은입니다. 우선 기획재정부가 외환API를 공식적으로 일정계획을 밝혔습니다. 자료를 보면 21년 12월까지 전자거래 도입방안을 내놓는다고 합니다. 이전과 달라진 점입니다. 다만 위 기사를 보면 정부당국이 강제적으로 추진하지 않는 듯 합니다. API 도입은 기본적으로 개별 은행의…
Read more

금융분야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1. AI나 알고리즘을 법으로 규제하자는 논의가 많은 듯 합니다. 기술의 변화가 사회에 영향을 마치기 때문입니다. 어떤 법이든 법을 만들 때 다루고자 하는 대상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아시는 분은 별로 없는 ‘지능정보화기본법’을 보면 ‘지능정보기술’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정보화”란 정보를 생산ㆍ유통 또는 활용하여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그러한 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지능정보화”란 정보의 생산ㆍ유통 또는 활용을 기반으로 지능정보기술이나…
Read more

디지탈통화, CBDC 그리고 Govcoin

1. 또 한차례 광풍이 휩쓸고 지나갔습니다. 몇 년전과 동일한 모습이 보입니다. 정부는 대책을 내놓는다고 하고 몇 거래소는 돈방석에 앉았고 존버를 외치는 투자자들도 있습니다. 모든 투자는 전적으로 자기책임하에 있으므로 수익을 내든 손해를 보든 모두 각자의 책임과 결과입니다. 그래도 남은 것이 있습니다. “암호통화는 어디로 갈까?” 개인적으로 암호통화의 미래를 부정적으로 봅니다. 시장에서 거래가 아루어지는 암호통화를 대신하여 새로운 암호통화인 GovCoin이 그 자리를 대신하지 않을까…
Read more

Spunta와 SIAChain 그리고 금융결제원

1. 암호통화와 블록체인. 무엇이 미래에 더 큰 가치를 가질지 의견이 다릅니다. 개인적으로 CBDC가 아닌 암호통화의 미래에 대한 부정적으로 바라봅니다. 매일 암호통화의 시세로 기사를 쏟아내는 언론을 보면 한심하다는 생각을 합니다. 그렇다고 블록체인 – 분산원장을 포함하여 – 과 관련한 의미있는 변화가 국내에 있는 것도 아닌 듯 합니다. 우연히 IBK기업은행 경제연구소가 발행한 디지털 뱅킹 혁신 어워즈 수상자의 성공전략을 읽었습니다. 대부분 재미없는 내용이고 새롭지…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