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g Archive: 인공지능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방안

1. 나라가 쿠데타로 어지러운데 금융위원회는 일을 하는가 봅니다. 금융회사들의 화두인 AGI와 관련하여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방안을 발표하였습니다. 이번 정책은 이전에 발표하였던 금융분야 망분리 개선 로드맵에 이어지는 정책을 발표하였습니다. 망분리 개선 로드맵의 과제는 (1-1)생성형 AI 활용 허용, (1-2)클라우드 기반의 응용 프로그램(SaaS) 활용도 제고,(1-3)연구·개발 분야 망분리 규제개선입니다. 이중에서 생성형 AI 허용에 이어지는 정책입니다. 금융권 생성형 AI 활용 지원방안에서는 금융권 생성형AI 이원(Two-track…
Read more

금융분야 합성데이터 활용 세미나

1. 금융보안원 행사입니다. AI 학습 데이터, AI가 만든다. 「금융분야 합성데이터 활용 세미나」 개최 사전등록은 https://forms.gle/DqyovCmMAR92rxyMA 블로그에서 합성데이타를 다룬 글은 아래입니다. Synthetic Data와 JP Morgan 그리고 TimeGAN 2. 갑자기 합성데이타 세미나라고 해서 무슨 일인가 했습니다. 찾아보니까 금융위원회 5월 17일에 관련한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금융 산업의 인공지능 대응전략 세미나 금융보안원 세미나에 참석하기 전에 신용정보원 세미나자료를 한번 읽어보고 참여하시면 좋을 듯 합니다. 금융보안원은 마이데이타,…
Read more

기계학습과 퀀트매매를 주제로 chatGPT가 쓴 책

1. Gautier Marti는 인도 Abu Dhabi Investment Authority (ADIA)에 근무하는 퀀트입니다. chatGPT 3.5 및 chatGPT4를 이용하여 두가지 주제의 책을 내놓았습니다. From Data to Trade: A Machine Learning Approach to Quantitative Trading Decoding the Quant Market: A Guide to Machine Learning in Trading 첫번째 책은 chatGPT와 검색 그리고 인간에서 소개했던 책입니다. 관련하여 저자가 재미있는 인터뷰를 했습니다. ChatGPT와 인터뷰를 하였죠. chatGPT는 책의…
Read more

AGI 개발을 멈추고 성찰할 때?

1. 몇 일 SNS를 장식하는 AI 모라토리옴에 관한 글이 있습니다. Pause Giant AI Experiments: An Open Letter입니다. 관련한 내용은 DeepL로 번역하였습니다. 몇 군데 손질을 했습니다. OpenAI와 Future of life 재단 모두 AGI의 위험성을 공유합니다. 다만 위험성을 낮추고 인류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를 놓고 차이를 보입니다. 인류가 AGI를 받아드릴 수 있는 준비를 먼저 하자는 입장과 개발과 피드백을 통해 위험성을 통제하고…
Read more

Deepl이 번역한 빌 게이츠의 ‘The Age of AI has begun’

1. The Age of AI has begun을 Deepl로 번역한 글입니다. 읽으면서 눈에 거스리는 표현이 별로 없습니다. 다만, 문체라는 면에서 보면 다릅니다. 하나의 표현을 하기 위해 이용가능한 선택지는 무수히 많습니다. 그중에서 무엇을 선택할지는 글쓴이의 마음입니다. 마찬가지로 AI는 자신이 학습한 수많은 데이타중 가장 가까운 결과를 가져올 듯 합니다. 때문에 “것이다”라는 식의 문장이 많았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이런 식의 글쓰기를 하고 AI도 이런 글로…
Read more

AI를 넘어서 XAI로… AI가 답해야 하는 질문들

1. 오래 전 알파고와 이세둘 9단의 대국을 중계하였습니다. 알파고가 바둑알을 놓으면 해설을 하여야 하는데 경험상 보지 못한 수일 경우 해석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어떤 경우네는 대국이 중반을 넘어서서 초반에 두었던 수의 의미를 이해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바둑을 보는 사람은 당연히 질문을 합니다. “왜 이 수를 두었을까?” 보통 프로기사의 대국은 대국을 마친 후 설명을 합니다. 이럴 경우와 비교하여 질문이 가능합니다. “알파고는 대국을…
Read more

금융위의 금융AI 개발활용 안내서

1. 정부에는 수많은 부서가 있습니다. 정부가 바뀔 때마다 정책적 방향이 갈지를 걷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데 금융위원회 정책을 보면 변화를 느끼기 힘듭니다. 개인적으로 보면 IMF이후 한국사회를 지배하는 큰 흐름이 바뀌지 않기때문입니다. 다만 소비자 보호에 방점을 둘지, 금융산업 혁신(변화)에 방점을 두느냐의 차이는 존재합니다. 박근혜, 문재인 정부의 금융정책을 특징짓는 단어는 핀테크입니다. 금융산업의 디지탈화라는 세계적인 흐름속에서 금융산업을 어떻게 변화할까라는 고민이 담겨져있습니다. 공인인증에서 시작한 변화가…
Read more

AI매매, AI중개와 자본시장법

1. 시스템트레이딩이 투자일임일까요, 투자중개일까?에 이어지는 글입니다. 이 글의 대상은 증권회사(선물회사)가 제공하는 혹은 하려고 하는 자동매매시스템입니다. 오늘 주제는 자본시장법으로 인허가를 받지 않은 회사가 제공하는 자동매매시스템입니다. 여기서 말하는 자동매매시스템은 시스템매매와 다릅니다. 이전 글에서도 소개하였던 금융위가 정의한 시스템 매매를 다시한번 확인해보면. “시스템매매”란 투자자 자신의 판단을 배제하고 사전에 내장된 일련의 조건에 의하여 금융투자상품 매매종목, 매매시점 또는 매매호가에 대한 의사결정정보를 제공하거나 이에 의하여 자동매매주문을 내는…
Read more

금융분야 인공지능(AI) 가이드라인

1. AI나 알고리즘을 법으로 규제하자는 논의가 많은 듯 합니다. 기술의 변화가 사회에 영향을 마치기 때문입니다. 어떤 법이든 법을 만들 때 다루고자 하는 대상을 명확히 정의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아시는 분은 별로 없는 ‘지능정보화기본법’을 보면 ‘지능정보기술’를 이렇게 정의합니다. “정보화”란 정보를 생산ㆍ유통 또는 활용하여 사회 각 분야의 활동을 가능하게 하거나 그러한 활동의 효율화를 도모하는 것을 말한다. “지능정보화”란 정보의 생산ㆍ유통 또는 활용을 기반으로 지능정보기술이나…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