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사 영업실적으로 본 위기론

1.
금융감독원이 2012년 1/4분기 증권회사 실적을 공시하였습니다.

위기론이 허구가 아님을 보여줍니다.다만 증권회사의 위기가 어디에서 출발했는지 살펴볼 숫자가 있습니다. 제가 자주 쓰는 말중 ‘숫자로 경영하라’는 말이 있습니다. 숫자는 실적입니다. 그렇지만 숫자는 정량적인 실적뿐 아니라 정성적인 전략 혹은 비지니스 모델의 성패도 보여줍니다.

위의 자료중 비즈니스모델과 관련한 부분이 증권회사 손익현황입니다.

2.
지금까지 국내 증권회사의 비즈니스모델은 크게 네가지를 통하여 변화발전했습니다. 전통적인 Transaction Gathering Model, Asset Gathering Model, Investment Bank 그리고 FICC Trading입니다. 손익현황의 수탁수수료, 자산관리수수료, 인수자문수수료 및 주식채권관련 손익은 각 모델의 손익입니다.

먼저 수탁수수료. 수탁수수료가 무엇인지 궁금해서 금융투자협회를 보니 위탁수수료와 같다고 합니다. 천수답경영이라는 소리를 듣게끔 한 부문입니다. 전체 수수료 수입의 60%를 차지합니다. 증권사가 적자로 돌아선 핵심적인 이유중 하나가 수탁수수료의 축소일 듯 합니다. 자산관리수수료는 Asset Gathering Model과 관련이 있습니다. 수수료수익의 3%에 지나지 않습니다. 한동안 자산관리형 서비스 열풍이 불었지만 숫자상으로 보면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네요. 오히려 인수자문수수료가 13.8%를 차지합니다. 2011년과 비교하여 보면 자산관리수수료가 큰 폭으로 줄었고 그 다음이 수탁수수료입니다. 경기변동에 가장 민감하게 반응하는 비즈니스가 자산관리이라는 뜻입니다. 인수와 자문과 같은 부문은 경기변동을 덜 탄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를 매일경제신문은 3재三災중 1재라고 하네요.

첫째는 거래 급감이다. 증권사 수익 가운데 위탁매매 수수료가 차지하는 비중은 60~70%. 그러나 투자자들이 주식시장을 떠나면서 거래대금이 우하향곡선을 그렸다. 지난해 최대 13조원에 이르던 코스피 하루 평균 거래대금은 올 초만 해도 7조~8조원대에서 버텼다. 그러나 최근 3조~4조원대로 절반 가까이 급감하며 사상 최저치를 갈아치우는 중이다. 3조원대는 유로존 리스크와 미국의 신용등급 강등으로 코스피가 급락장으로 돌변한 지난해 8월과 비교해도 거의 절반 수준이다. 증권업계에서는 하루 거래대금이 적어도 7조원은 돼야 손익분기점을 넘어설 수 있다고 본다.

수익이 줄어든 건 거래수수료뿐이 아니다. 펀드와 랩 판매 부진으로 자산관리 부문 이익도 감소했고 기업공개(IPO)나 회사채 발행도 꽉 막혔다. 올해 초만 해도 상장 예비심사를 청구할 것으로 예상했던 회사가 40곳이 넘었지만 상당수가 일정을 멈췄다. 대어급으로 주목받았던 현대오일뱅크도 무기한 연기했다. 증권 관계자들은 수익성 둔화가 1~2년 새 끝나지 않고 장기화될 수 있다는 점을 걱정한다.
증권사들 비용 절감 몸부림…3재三災(거래 부진·규제 강화·자본법 개정안 통과 불투명) 겹치며 경영비상중에서

그런데 이상의 변화를 꼭 경기변동 탓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이에 대해 증권사들은 규제정책의 비중을 높게 보고 있습니다.3재三災중 2재입니다.

두 번째 악재는 정부의 전방위 규제다. 지난해 검찰이 주식워런트증권(ELW) 건으로 12개 증권사를 고발하면서 시작된 수난이 올해까지 이어지는 분위기다. 올해는 공정거래위원회가 압박의 공세를 높였다. 지난해부터 조사하던 국민주택채권 담합 건에 대해 17개 증권사를 고발조치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양도성예금증서(CD)금리 담합 건을 심도 있게 조사했다. 여기에 금융감독원은 지난해 6월부터 증권사의 유동성 위험을 관리하는 차원에서 콜차입 한도를 줄여나가고 있다. 올해 7월부터 자기자본의 25% 내로 규제되면 중소형 증권사는 자금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게 분명하다.

이뿐 아니다. 파생상품거래세 추진도 업계의 기를 꺾는 조치로 해석된다. 여야를 가릴 것 없이 대선공약에 파생상품거래세 추진이 포함된 상태다. 기획재정부도 추진 의사를 밝힌 상태라 일사천리로 진행될 가능성이 높다. 여기에 공매도에 대한 규제 강도를 높이면서 한국형 헤지펀드를 싹틔우기 전부터 죽이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쏟아져 나온다. 한 자산운용사 사장은 “공매도를 규제하는 건 가장 기본적인 헤지펀드 투자기법을 활용하지 말라는 뜻”이라며 “정부가 자본시장을 키우겠다는 의지가 있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3.
손익현황중 가장 재미있는 부분이 Prop Trading입니다. 주식관련손익은 전통적으로 증권사들이 했던 상품입니다. 주식, ELW 및 코스피200 지수 및 선물과 관련한 운용입니다. 큰 폭의 적자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ELW 규제가 큰 영향을 주었고 HFT로 무장한 DMA트레이더와 경쟁에서 밀린 지수파생거래의 손실도 작지않은 영향을 준 듯 합니다. 반면 FICC 부분중 대표적인 상품인 채권거래는 큰 폭으로 늘어난 모습을 보입니다. 이 때문에 대부분의 증권사들이 FICC를 새로운 수익모델로 삼으려고 합니다. 채권딜러를 둘러싼 스카우트경쟁도 치열하다는 소식이 신문을 장식합니다.

살길을 찾고 있는 증권사가 가장 먼저 눈을 돌린 사업은 간접투자 대상인 장외파생상품이다. 최근 주가연계증권(ELS)과 파생결합증권(DLS)이 비약적으로 성장한 것도 증권사들이 공을 들인 결과다. 증권사들은 주식을 기초자산으로 삼으면서도 고정 이자를 줄 수 있는 형태의 ‘중위험 중수익’ 상품에 치중한다. 불황에도 채권 전문가 인기가 치솟는 이유이기도 하다.

그렇지만 블루오션에서 레드오션으로 바뀔 날이 얼마남지 않은 듯 합니다. 경쟁이 치열해질 것이라는 전제하에서 프랍부문을 질적으로 개선시킬 방안을 찾는 편이 어떨까 생각해봅니다.

여기까지가 현재 증권사들의 모델입니다. 증권사와 금융위는 여기에 한 칼럼을 더 넣으려고 합니다. Prime Broker입니다. 자본시장법 개정안입니다.

마지막으로 증권업계가 애타게 기다려온 자본시장법 개정안 처리가 불투명하다. 자본시장법 개정안은 자기자본 3조원 이상 금융회사들이 ‘종합금융투자사업자(대형 IB)’로 지정돼 프라임 브로커리지 등의 배타적 업무를 허용하는 안을 담고 있다. 이를 대비해 대형 증권사들은 지난해부터 대규모 투자를 단행해왔다. ‘경제민주화’가 화두로 떠오른 가운데 국회 통과여부는 아직 미정이다.

하늘에서 뚝 떨어진 비즈니스모델은 없습니다. 현재 있는 모델을 갈고 닦고 새로운 시각으로 재정립하여야 남과 다른 숫자를 만들 수 있습니다. 혹 저축은행을 인수하는 증권사들이 많은데 안철수씨도 관계하였던 인터넷전문은행을 다시 제도화하면 어떨까요? 자본시장법의 프라임브로커 보다 더 전망이 있을 듯 한데.(^^)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