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Time지가 분석한 글 및 머니투데이에서 번역한 기사를 덧붙였습니다. 아울러 우리나라 위기와 관련하여 간단한 댓글을 달았습니다.
1. 장기 호황(Good Times)
달도 차면 기우는 법이다. 타임은 현 금융 위기의 첫번째 주범으로 1930년 이후 이어진 장기 호황을 지목했다. 사람들은 지금까지 여전히 대공황의 이유를 놓고 왈가왈부하고 있지만 어느 누구도 그에 대해 명쾌한 해답을 제시하진 못하고 있다. 이는 어려운 상황이 오기 전까진 어느 누구도 그에 주목하지 않기 때문이다. 미국 경제는 1970년대와 2000년대 초 주식시장 침체, 1980년대 부동산 버블, 1997년 아시아 금융 위기 등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국민들은 물론 정부와 월가까지 이를 큰 위기로 여기지 않았다.
우리의 경우엔 IMF이후 10년호황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IMF이후 카드채사태등이 있기는 했지만외환보유고가 2000억달러를 넘어서면서 자신감을 가졌고 IMF위기를 잊어가고 있었습니다.
After a year of epic financial crisis, 2009 will ? if all goes well ? be a time for digging ourselves out of the mess and figuring out how to prevent a repeat. Before we can do that, we have to have some idea of what went wrong. People are still arguing about what caused the Depression of the 1930s, so don’t expect a definitive diagnosis anytime soon. But here’s my current list of blame, or at least the first dozen
items on it, in descending order of culpability.
Hardly anyone expected things to go wrong because things hadn’t gone truly, pants-wettingly, oh-my-god wrong on the financial front in the U.S. since the 1930s. Yes, there had been deep stock-market slumps in the 1970s and early 2000s, real estate busts in the 1980s and early 1990s and occasional short-lived financial scares like the Asian crisis of 1997. But the U.S. hadn’t been through a serious panic in the memory of most everyone on Wall Street and in government. We began to behave as if one couldn’t happen; we were told it couldn’t. Blithe behavior begat trouble. The upside is that everybody is now so shellshocked that we probably don’t have to worry about a repeat anytime soon.
2. 앨런 그린스펀
타임지가 내세운 두번째 금융 위기 주범은 앨런 그린스펀 전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이다. 그린스펀 전 의장은 재임 기간 1987년 주식시장 붕괴, 1987년 롱텀캐피털매니지먼트(LTCM) 사태, 2000~2001년 닷컴버블 등 여러 위기는 성공적으로 대처했다. 하지만 그린스펀 전 의장은 당장의 불을 끄는 데만 급급했던 탓에 내재된 리스크는 무시하는 태도로 일관했다. 이에 1913년 더 큰 위기가 왔다는 지적이다.
그린스펀에 대한 평가는 두가지입니다. 금융위기이전과 금융위기이후입니다.장기호황을 유지하기 위하여 유동성을 확대하고 규제를 완화하였습니다. 이 때문에 그리스펀이 주범이라고 평가받습니다.
It was to smother financial panics that Congress created the Federal Reserve in 1913. During Greenspan’s tenure as chairman, the Fed jumped in to keep the 1987 stock-market crash, the 1998 Long-Term Capital Management scare and the 2000-01 tech-stock collapse from spiraling into something worse. But that very successful firefighting fostered the risk-ignoring attitudes that brought on a conflagration. There are some ? like 2008 presidential candidate Ron Paul ? who argue that the lesson here is that we’d be better off without the Fed. A more palatable interpretation is that if the Fed is going to step in to prevent panics, it needs to do more to deflate the bubbles that inevitably precede those panics. Fed policy over the past quarter-century has been asymmetrical: it bailed institutions out of trouble but did ever less to restrain them during fulsome times. That has to change.
3. 비뚤어진 규제(Twisted Regulation)
세번째 주범은 잘못된 규제다. 1970년대 이후 미국의 탈규제는 그릇된 방향으로 진행됐다. 은행들은 면밀한 감독을 받았지만 새로이 생겨난 모기지대출기관, 투자은행(IB), 헤지펀드, 사모펀드 등에겐 감독의 손길이 미치지 못했다.
우리나라는 증권거래법,선물거래법등으로 자본시장에 대한 법적 규제가 이루어지고 있었습니다. 그렇지만 미국의 30년 호황을 보면서 금융산업을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규제를 완화하기 위한 시작으로 ‘자본시장통합법’을 제정하였습니다.
What has happened in the financial sector since the 1970s isn’t exactly deregulation. Banks have remained as closely supervised as ever. But new institutions that grant mortgages, lend money, fund deals ? businesses once monopolized by banks ? have been allowed to grow with little oversight. Lawmakers and regulators responded in the 1990s not by setting parameters for these new players ? investment banks, hedge funds, private-equity funds, etc. ? but by giving bank holding companies more freedom to enter underregulated lines of business. The perverse result was that the new and untested gained an unfair advantage over the tried and true.
4. 월스트리트
전통적인 업무 대신 파생상품 등 ‘고수익 고위험’ 상품에 집중하면서 월가는 위험을 외부로 확산시켰다. 월가는 위기를 퍼뜨렸지만 책임은 지려 하지 않았고 대신 수천만달러의 연봉을 챙겨갔다.
미국은 투자은행을 중심으로 한 발전을 해왔다고 하면 한국은 상업은행을 중심으로 한 발전이었습니다. 현재의 위기도 투자은행이 아니라 상업은행의 위기입니다. 외국은행에서 단기채를 들여와 부동산자금으로 대출한 영업전략등이 위기를 초래하였습니다.
The shift of financial activity from bank balance sheets to the off-balance-sheet realm of securitization and derivatization loosely defined as Wall Street wouldn’t have been such a disaster if it had actually worked as advertised ? spreading risk, encouraging innovation, bringing the best minds to bear on the biggest financial problems.
Instead, Wall Street’s leaders did an atrocious job ? rewarding the foolhardy, steering capital to the least productive uses and running away from responsibility for their errors. And they got paid tens of millions of dollars a year for it.
5. 내집 마련에 대한 강박증(The Home Ownership Obsession)
지난 10년간 미국 정부는 지역재투자법(CRA), 패니매, 프레디맥 등을 통해 내집 마련을 장려해왔다. 하지만 이 같은 정책은 주택시장 과열을 불러왔고 무분별한 주택 담보 대출을 양산시켰다. 이는 결국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로 이어졌다.
내집마련 보다는 다주택자들에 의한 주택투기열풍이 보다 심각한 문제였습니다.물론 이런 열풍의 밑바탕에는 문민의 정부,참여정부 10년동안 건설을 통한 경기부양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During the 2008 election campaign, Republicans attempted to pin blame for the crisis on the Community Reinvestment Act (CRA) and mortgage giants Fannie Mae and Freddie Mac. Nice try: there’s virtually no evidence to back up the CRA charge, and while Fannie and Freddie aren’t blameless, they were mostly sidelined during the worst of the mortgage frenzy, from 2003 to 2006. But the decades-long, bipartisan government effort to encourage homeownership ? of which CRA, Fannie and Freddie
were but a small part ? did tragically overshoot the mark. Homeownership generally is a good thing. Massively subsidizing it via the tax code might not be so smart. And turning a blind eye to crazy lending practices because they seem to encourage it definitely is not.
6. 과잉 유동성(Too Much Money)
미국 국민들은 늘어만 가는 대일, 대중 무역 적자를 걱정하고 있다. 하지만 이를 뒤집어보면 이들 국가로부터 막대한 자금이 미국으로 흘러들어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중국으로 유입된 과도한 유동성은 2000년 부동산버블을 낳았다.
참여정부가 양극화의 폐해를 줄이기 위해 취한 균형발전전략이 문제였습니다. 지방균형발전은 결국 전국토를 투기화하였고 개발을 위한 막대한 자금이 시중에 풀리는 결과를 초래하였습니다.
Lots of people worried for years that the gigantic trade deficits the U.S. ran up with first Japan and then China were hurting domestic manufacturers. But the flip side of those trade deficits ? gigantic capital flows into the U.S. ? may have been even more dangerous. It was the capital gusher from China in particular that inflated the 2000s
real estate bubble.
7. 시장 합리성에 대한 과신(The Myth of the Rational Market)
수십년간 이어진 시장은 항상 합리적이라는 맹신도 문제로 지목됐다. 시장은 정보와 의견을 널리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정보나 의견이 지나치게 과장되는 경향이 있다.
For decades, the accepted academic response to concerns that the economy might be on an unsustainable trajectory was that financial markets knew best. Got a backup? Markets are spectacularly efficient processors of information and opinion. But they also have a by-now-well-documented tendency to overshoot on both the upside and the downside.
8. 당신과 나
감당할 수 없을 수준의 빚을 내 집을 산 수백만명의 당신과 나도 현 금융 위기의 책임을 면할 수 없다.
우리가 위기의 주범이라는 사실은 지난 대통령선거와 국회의원선거가 보여주고 있습니다. 묻지마!투표,뉴타운공약열풍에 휩싸여서 위기를 가속화하였기 때문입니다.인간의 어쩔 수 없는 욕망이라고 할까요?
None of this would have happened if millions of us hadn’t come to believe we could get something for nothing by taking on debts we couldn’t repay. That this misconception was fostered by lenders and politicians is a partial excuse but not a complete one. Thanks to the Panic of 2008, though, we can count on nobody making this mistake again, at least not for a while.
9. 조지 W 부시
감세와 필요없는 전쟁을 동시에 추진, 만성적인 재정 적자를 야기한 부시 대통령도 빼놓을 수 없는 요인이다.
부동산투기를 일으켰던 DJ나 노무현대통령,미국의 금융위기를 한국의 금융위기,실물위기로 확대재생산한 이명박대통령을 뺄 수 없습니다.
A lot of the government decisions that led to our current pass were bipartisan. Some were the doing of Democrats. But you can’t be a two-term president with your own party in charge of Congress for most of your time in office and escape blame for the economic debacle that unfolds as you prepare to leave town. The specific Bush act that probably contributed most to today’s difficulties? His reckless disregard for sound fiscal policy, as his tax cuts and war spending combined to turn budget surpluses into chronic deficits.
10. 상품선물현대화법(Commodity Futures Modernization Act)
공화당 의회와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통과시킨 상품선물현대화법은 크레딧디폴트스왑(CDS)같은 고위험 파생상품에 대한 규제를 금지, 리스크를 배가시켰다.
개인적으로 자본시장통합법이 규제완화의 상징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여전히 자본시장통합법엔 아직도 허가와 관련된 권한을 정부에 위임하고 있습니다. 다만 허가권을 어떻게 사용하느냐가 관건입니다. ‘작은 정부’를 추구하는 MB정부하의 금융위원회가 어떨지 관심이 갑니다.
If you had to pick a single government move that did more than any other to muck things up it was this probably this bill, passed by a Republican Congress and signed into law by lame-duck President Bill Clinton in December 2000. It effectively banned regulators from sticking their noses into over-the-counter derivatives like credit default swaps. There’s no guarantee that regulators would have sniffed out the dangers in time. But banning them from even looking sent a pretty clear anything-goes message to OTC derivatives markets.
11. 신용평가사
무디스, 스탠더드앤푸어스(S&P), 피치 등 대형 신용평가사들은 월가와 담합, 제대로 된 평가도 없이 자산담보부증권(CDO) 등 고위험 신생 상품에 높은 등급을 부여했다.
신용평가와 관련해서는 완전히 전세계가 미국의 지배하에 있습니다.
Their failings were part of the larger inability of Wall Street to do securitization right, and their employees didn’t get paid nearly as much as the investment bank guys engineering the dodgy investment products they rated. That’s why the rating agencies don’t make the top ten. But the willingness of Moody’s, S&P and Fitch to grant top ratings to untested new securities like collateralized debt obligations made possible a lot of staggeringly dumb deals that otherwise would never have seen the light of day.
12. 리먼 파산 용인(Letting Lehman Go)
FRB 등 관계 당국이 리먼브러더스의 생명줄을 끊어놓은 것은 이해할 수 없는 일이다. 베어스턴스, 패니매, 프레디맥 때와는 전혀 다른 당국의 결정은 금융시장을 일순간에 혼란으로 몰고 갔다.
미국은 정책적 일관성없이 파산을 결정한 것이 문제라면 한국은 파산을 계속 늦추고 있는 것이 문제입니다.
This is a hard one ? given that I’ve already taken the Fed to task for bailing us out so often. But once the precedent had been established with Bear Stearns, Fannie Mae and Freddie Mac, letting Lehman go under in disorderly fashion in September shocked markets and seems to have led to the near financial meltdown that followed. It’s not clear exactly how, given the laws in place at the time and the lack of a buyer, the Fed and Treasury could have managed a better Lehman conclusion. But what we got was pure bad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