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경제위기와 경제냉전의 부활?

1.
정치는 불연속의 예술이라고 하면 경제는 연속입니다. 2018년 경제가 2017년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습니다. 그리고 경제의 급격한 변화는 긴 시간속에서 검증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산업혁명은 약 1760년에서 1820년 까지 영국에서 시작된 기술의 혁신과 새로운 제조 공정(manufacturing process)으로의 전환입니다. 임기 5년의 단임정부가 할 수 있는 일은 의외로 적습니다. 그럼에도 작은 변화가 모여 큰 변화가 됨을 잊으면 몰락으로 빠집니다. 그래서 과거가 중요합니다.

2018년! 2008년 금융위기가 발생한 이후 10년입니다. 조사를 해보면 알만한 곳은 거의 대부분 보고서를 발표하였습니다. 국내에서는 국제금융센터가 발표한 ‘글로벌 금융위기 10년 : 10대 변화와 평가‘이 대표적입니다.

Download (PDF, 2.14MB)

유명한 투자은행들도 관련한 보고서를 내놓았습니다. 도이치뱅크는 GFC 10 years on – More debt & money printing has covered up a debt crisis라는 제목입니다. 금융위기 이전보다 부재가 늘었다고 주장합니다.

Global Debt – higher than before the GFC
Increasing debt has been a feature of the post-GFC recovery, and while all sectors have become more indebted, the government and non-financial sectors have either been forced to borrow or feasted upon cheap financing. If you believe that the GFC was a debt crisis, then while the composition of debt might be ‘safer’, the world hasn’t made much progress on tackling leverage. Lower bank leverage and higher capital ratios should mean that it will be much harder for subsequent crises to spread through the financial sector to such devastating effect. But fragilities remain.

Although the developed countries have seen government balance sheets take the strain of the last decade, in EM countries the non-government sectors have seen the bulk of the post-GFC debt rises. In China, the ratio of private nonfinancial debt to GDP has seen one of the most rapid climbs in leverage around the world post the GFC. It responded to the crisis by massively loosening policy, so the leverage increase is a GFC by-product. This bears striking similarities to previous credit booms seen in the US, Japan, Thailand and Spain – all of which led to a crisis.

JP Morgan이 내놓은 보고서는 10 Years After The Financial Crisis입니다. 자세한 보고서 내용은 Kolanovic: This Is What The Next Crisis Will Look LikeMarko Kolanovic: This Is What The Next Crisis Will Look Like 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새로운 위기의 성격은 Great Liquidity Crisis로 묘사합니다. 여기에 1968년과 같은 사회적인 대립과 긴장을 수발할 것으로 예상합니다.

What will the next crisis look like? This year marks the 10th anniversary of the 2008 Global Financial Crisis (GFC) and also the 50th anniversary of the 1968 global protests. Currently, there are financial and social parallels to both of these events. Leading into the 2008 GFC, some financial institutions underwrote products with excessive leverage in real estate investments. The collapse of liquidity in these products impaired balance sheets, and governments backstopped the crisis. Soon enough governments themselves were propped by extraordinary monetary stimulus from central banks. Central banks purchased ~US$10 trillion of financial assets, mostly government obligations. This accommodation is now expected to reverse, starting meaningfully in 2019. Such outflows (or lack of new inflows) could lead to asset declines and liquidity disruptions, and potentially cause a financial crisis. We will call this hypothetical crisis the “Great Liquidity Crisis” (GLC). The timing will largely be determined by the pace of central bank normalization, business cycle dynamics, and various idiosyncratic events such as escalation of trade war waged by the current U.S. administration. However, timing of this potential crisis is uncertain. This is similar to the 2008 GFC, when those that accurately predicted the nature of the GFC started doing so around 2006. We think the main attribute of the next crisis will be severe liquidity disruptions resulting from these market developments since the last crisis:

We believe that the next financial crisis will involve many of the features above, sparking the Great Liquidity Crisis (GLC), and addressing them on a portfolio level may mitigate their impact. It remains to be seen how governments and central banks will respond in the scenario of a great liquidity crisis. If the standard interest rate cutting and bond purchases do not suffice, central banks may more explicitly target asset prices (e.g., equities). This may be controversial in light of the potential impact of central bank actions in driving inequality between asset owners and labor. Other “out of the box” solutions could include a negative income tax (one can call this “QE for labor”), progressive corporate tax, universal income, and others. To address growing pressure on labor from artificial intelligence, new taxes or settlements may be levied on technology companies (for instance, they may be required to pick up the social tab for labor destruction brought about by artificial intelligence, in an analogy to industrial companies addressing environmental impacts). While unlikely, a tail risk could be a backlash against central banks that prompts significant changes in the monetary system. In many possible outcomes, inflation is likely to pick up.

The next crisis is also likely to result in social tensions similar to those witnessed 50 years ago in 1968. In 1968, TV and investigative journalism provided a generation of baby boomers access to unfiltered information on social developments such as Vietnam and other proxy wars, civil rights movements, income inequality, etc. Similar to 1968, the internet today (social media, leaked documents, etc.) provides millennials with unrestricted access to information on a surprisingly similar range of issues. In addition to information, the internet provides a platform for various social groups to become more self-aware, polarized, and organized. Groups span various social dimensions based on differences in income/wealth, race, generation, political party affiliations, and independent stripes ranging from liberal to alt-right movements to conspiracy theorists and agents of adversary foreign powers. In fact, many recent developments such as the U.S. presidential election, Brexit, independence movements in Europe, etc., already illustrate social tensions that are likely to be amplified in the next financial crisis.

How did markets evolve in the aftermath of 1968? Monetary systems were completely revamped (Bretton Woods), inflation rapidly increased, and equities produced zero returns for a decade. The decade ended with a famously wrong Businessweek article “the death of equities” in

또다른 자료는 Societe Generale의 보고서입니다. SocGen: “Storm Clouds Are Gathering” As Next Recession Looms입니다. SG는 현재 네가지 위험을 제시하고 이를 Swan Chart로 표시합니다.

Four of the bank’s most essential downside risks (Protectionism/ trade wars, Sharp market repricing, European policy uncertainty, and China hard landing) are developing into significant threats. They are laid out in the bank’s now iconic “Swan Chart.”

아울러 향후 12개월 미중 무역갈등을 향후 경기하락의 중요한 지표로 제시하고 있습니다.

Morgan Stanley의 보고서를 소개한 There’s a 30% chance of a recession in 2020, Morgan Stanley says를 보면 “Morgan Stanley warns that accelerating growth and inflation places the U.S. economy at a 15% risk of recession in 2019 and a 30% risk in 2020.”라고 전망을 합니다.

이와 같은 해외시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여 제시하고 있는 기사가 아래입니다.

글로벌 금융위기 10년…월가 전문가들 “겨울이 오고 있다”
2008년보다 더 큰 금융 위기가 다가오고 있다”

2.
ZeroHedges에 올라온 The IMF’s Five Charts That “Explain The Global Economy In 2018”을 보면 2019년의 경제를 예상해볼 수 있습니다. 첫번째 도표는 생산과 교역에서 현저한 하락을 보여줍니다.

이상의 보고서를 보면 위기의 원인은 복합적이지만 무중무역갈등, 보호무역주의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그러면 미중무역갈등을 어떻게 이해해야할까요? 대체적인 분석은 “패권경쟁”으로 바라보며 몇 년내에 끝날 것으로 바라보지 않습니다. 지속적이고 구조적인 갈등이자 위기로 바라봅니다.

이 전쟁은 오래간다. 왜 그런가. 단순한 무역 분쟁이 아니요, 세계 경제 패권을 겨루는 건곤일척의 싸움이기 때문이다. 트럼프의 미국은 지금이 아니면 늦다며 끝장을 보려 한다. 수단도 많다. 강한 경제도 강점이다. 기술 유출 차단, 보복 관세는 물론이요, 통화전쟁도 불사할 기세다. 그렇다고 중국이 백기 투항 할 리 없다. 당장 600억 달러 보복 관세로 맞불을 놨다. 하지만 힘으로는 밀린다. 길게 보고 버티는 방법을 찾을 것이다. 비관세 장벽, 전략 물자 수출 제한 같은 수단이다. 파이낸셜타임스는 “트럼프의 임기와 관계없이 미·중 무역 전쟁은 앞으로 뉴노멀이 될 것”이라고 봤다.
[이정재의 시시각각] 레벨 10의 차이나 쇼크중에서

‘미국과 중국 모두 이번 무역전쟁에서 쉽게 물러서기 어렵다. 결국 두 나라 모두 각자의 동맹을 구축하면서 미국과 구 소련이 대립했던 냉전 시대를 떠올리게 하는 새로운 ‘경제 냉전’ 시대로 접어들 수 있다’

미국과 중국의 무역전쟁이 장기전 양상으로 흘러가면서 이를 전제로 한 다양한 분석들이 제기되고 있다. 중화권 유력언론인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25일 미국과 중국이 진영을 나눠 대립하는 ‘신 냉전 체제’가 불가피할 수 있다는 내용의 분석 전망 기사를 게재했다.
미중 무역전쟁, ‘新 경제 냉전’으로 갈 수밖에 없는 이유중에서

트럼프 정부는 즉각 국가방위 전략을 개정해 중국을 전략적 경쟁자로 규정하고 현존 국제질서를 전복하려는 수정주의 세력으로 재정의했다. 트럼프 정부는 지난해 7월 500억달러 규모의 중국산 제품에 대해 25%의 고율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9월에는 2000억달러 규모에 10% 관세를 물렸다. 이어 2670억달러어치에 대해서도 추가 관세를 예고했다가 잠정 보류한 상태다. 중국 역시 보복 관세를 부과하면서 무역전쟁이 촉발됐다. 워싱턴 조야의 시각도 강경하게 흘러갔다. 중국을 세계 무대로 끌어낸 이후 미국은 중국의 발전 경로를 자신들이 결정할 수 있다고 과신했지만 결국 실패로 귀결됐다는 자성이다.
고양이에서 호랑이로 커가는 중국…G2 패권경쟁 시계제로중에서

이상을 강대국 경쟁의 부활(the return of the great power competition)’이라고 부르면 새로운 시대로 분석하는 경향이 커지고 있습니다. ZeroHedge에 올라온 How & When Will The Next Financial Crisis Happen? 26 Experts Weigh In…에 올라온 의견중 인상적인 부분을 소개합니다. 항상 위기라고 하고 위기가 아닌 때가 없었지만 그래도 위기를 대비할 필요는 있습니다.

The question is not whether there will be a crisis, but when.
The Next Financial Crisis could be closer than we think.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