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 ‘객주’가 말하는 스타트업, 기업가

1.
소설 객주. 솔직히 아직 읽지 못했습니다. 그렇지만 들었던 풍문으로 조선 후기가 무대라고 생각했지만 TV 드라마로 보니까 조선말이더군요. 드라마 첫 회를 보고 흥미를 느꼈지만 이야기 흐름이 마음에 들지 않아 ‘마을 아치하라의 비밀’을 보았습니다. 몇 일전 청룡영화제 중계로 결방해서 채널을 고정했는데 요즘 경영학 책에 자주 나오는 이야기들이 대사로 나오더군요. 견강부회일 수도 있습니다.

모든 기업가들의 출발은 돈벌기입니다. 그것도 큰 돈을 버는 것입니다. 천봉삼이 신석주에게 “어떻게 하면 큰 돈을 벌 수 있습니까?”라고 묻는 장면이후 신석주의 대사입니다.

“돈을 벌기 전에 먼저 돈 냄새를 맡을 줄 알아야 하네. 어디로 돈이 흐르나 그걸 간파할 수 있는 눈이 있어야지. 돈을 봤을 때 그 돈을 콱 움켜쥘 줄 알아야 하네. 그 다음 돈을 가지고 놀 줄 알아야 하네. 돈을 가지고 놀질 못해 돈에 이리저리 끌려 다니는 놈은 결코 큰 돈을 벌지 못하네.”

“돈에 끌려 더니지 말라”고 한 후 “남들이 안 하는 일을 하라”라고 합니다. 스타트업이나 벤처를 말하는 듯 합니다.

“남들이 안 하는 일을 하게. 남들이 어려워서 못하는 일에 목숨을 걸어보게. 허면 큰돈을 벌 수 있을 거네. 웬만한 물화엔 온갖 장사치들이 다 달라붙어 돈을 빨고 있는데 다른 사람들이 감히 겁이 나서 못하는 걸 하게. 그 일에 목숨을 걸면 되네. 목숨을 걸어 봐”

그런데 한마디를 덧붙입니다. ‘목숨을 걸라’고 합니다. 무슨 의미인지, 다음 장면에 이어집니다.

“배우겠다는 사람을 쫓는 것은 도리가 아니네. 원래 돈자루 위에 저승사자도 함께 앉아있다고 했네. 큰 돈을 벌려면 피가 튀기 마련이지. 돈 버는 방도를 알아도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데 “

‘실패’를 말하지만 조금 더 나아갔습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경제적인 사망, ‘신용불량자’입니다. 비슷한 의미로 쓴 트윗입니다.

2.
장사는 왜 하는 것일까요? 기본은 돈을 버는 것입니다. 그 뿐일까요? 기업자정신을 말할 때 ‘아니다’라고 합니다. 송파마방 천봉삼과 신가대객주 길소개가 다투는 장면입니다.

길소개 왈.

“장사는 이문을 남기는 것이지 인정을 나누는 것이 아니냐”

천봉삼 대꾸합니다.

“물화의 값어치를 제대로 판단하고 그 적절한 가격을 매기는 것도 상도야, 우리 장사치의 근본이야
상대의 약점을 이용해서 물대를 깍아내리고 후려치말라, 우리 보부상의 규율이고 천가객주의 규율이야.”

“저 물화가 객주 어른 것이냐. 종이를 만들 때는 그것을 만드는 장인의 것이지만, 그것이 다 만들어진 후에는 종이를 필요로 하는 세상 사람의 것입니다. 장사꾼이 돈을 주고 살 수는 있지만 어찌 그것이 장사꾼만의 것입니까, 공생공존입니다. 나 혼자 잘 먹고 잘 살자가 아니라 다 같이 잘 살자, 그래서 하는 것이 장사입니다.”

요즘으로 말하면 재벌인 육의전 대행수 신석주는 이런 말을 합니다.

“예나 지금이나 큰 장사꾼은 길을 다스릴 줄 알아야 돼. 길을 내고 길을 막고 다스려야 돼. 물화 유통망을 장악해야 내 생각대로 돈이 움직여지네”

권력과 유착하여 유통을 다스립니다. 정경유착입니다. 오늘날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