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질이 더럽다?

1.
쉬엄쉬엄 읽었지만 스티브 잡스의 전기를 읽으면서 머리속을 떠나지 않았던 느낌는 “성질 더러운 놈(^^)”입니다. 한자문화권에서 읽히는 책으로 표현하면 ‘권모술수’에 능하고 ‘편집광적 집착과 아집’이 강한 리더입니다. 삼국지의 조조(曹操)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아니면 일본 삼국시대의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와 같은 느낌을 줍니다. 아니면 초패왕 항우((項羽)같기도 합니다. 물론 저만의 생각입니다. 이상의 리더와 다른 이미지를 가진 대표적인 리더가 삼국지의 유비(劉備)입니다. 손권이나 조조에 비해 사람을 품는 그릇이 크다고 할 수 없지만 덕장으로 추앙받습니다. 그렇지만 고우영선생이 그린 삼국지처럼 우유부단한 면을 보입니다. 우유부단한 유전자는 결국 아들 바보 유선(劉禪)에 이어져 나라를 멸망으로 이끕니다.

스티브 잡스의 영향인지 몰라도 창의성이 경영의 화두였습니다. 그래서 인문학 열풍이 불고 소통 경영이 화두이고 수평적 리더십, 섬김 리더십도 나옵니다. 그렇지만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더 좋은 성과를 보일까요? 얼마전 삼성과 소니의 기업문화를 비교한 글이 있었습니다.

어쩌면 삼성에 소니는 이제 더 이상 경쟁 상대가 아닌지도 모른다. 삼성전자와 소니의 최근 실적을 비교하면 더욱 그렇다. 그러나 삼성전자 근무 시절엔 소니를 롤모델(귀감)이자 경쟁자로 여겼고, 이후 소니에 근무하면서 삼성과 경쟁하기 위해 한국시장을 공략했던 필자는 “전 직원의 일체감을 고양하기 위해 ‘하나의 소니(One Sony)’라는 콘셉트가 중요하다”는 히라이 신임사장의 문제의식이 확 가슴에 와 닿는다. 소니의 창업정신은 자유활달(自由豁達)이다. 이는 개인의 창의를 존중하고 조직의 다양성을 장려하는 것으로, 소니다움을 추구하는 조직문화의 DNA였다. 그러나 이 자유활달의 조직문화는 창업세대에 비해 카리스마가 부족했던 전문경영인들의 리더십과 조화를 이루지 못했다. 이 때문에 소니는 많은 비용을 치러야 했다.
추락한 소니… 떠오른 삼성 다른 조직문화가 성패 갈랐다중에서

이건희가 있는 삼성을 자유롭고 수평적인 조직이라고 보지 않고 이건희를 소통과 공감의 리더로 보지 않습니다. 저의 기억에는 이건희 분노가 남아있습니다. 조직에 자극을 주고 하나의 방향으로 이끌기 위해 분노로 자신을 표현하는 독재적 리더입니다.

2.
리더의 성격과 조직문화는 다릅니다. 그렇지만 리더의 성격이 조직 문화에 아주 큰 영향을 미칩니다. 애플이 가지고 있는 스타트업적 조직은 잡스의, 잡스에 의한, 잡스를 위한 조직입니다. 잡스의 성격을 조직 문화에 그대로 반영시킨 결과입니다. 이처럼 리더의 성격은 조직의 숫자에 큰 영향을 줍니다. 저도 사업에 실패한 후 고민을 했습니다. 중요한 순간마다 결정이 미뤄진 이유를 찾으면 여럿 있지만 강하지 못한 성격이 한 몫 했다고 생각합니다. 성격을 바꿀 수 있을까 고민을 했죠. 이 때 찾아보았던 논문이 있습니다. “Which CEO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Matter?“라는 논문입니다. 최근에 나온 논문인 Which CEO Characteristics and Abilities Matter?은 사례분석을 더한 듯 합니다. 아래는 2008년도 논문입니다.

Download (PDF, 170KB)

많은 분들이 읽었던 일본전산 나가모리 시게노부(永守重信)와 같은 사람이 더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연구입니다. 잊고 있었던 논문을 최근 다시 신문에 읽었습니다. 시간이 좀 지난 만큼 다른 연구라고 생각했지만 찾아보니 같은 논문입니다.

더 놀랄 만한 결과는 두 번째다. 캐플런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LBO 기업의 경우 공격적이고 추진력 있는 CEO가 성공할 확률이 높았다. 벤처캐피털 기업은 상호 관계를 중요시하는 CEO가 실패할 확률이 높았다. 이 두 가지 결과를 종합하면 부드럽고 온화하며 남의 말을 잘 듣는 CEO보다 강하고 전투적이며 독단적인 CEO가 성공할 확률이 높다는 결론이 나온다. 이는 조직원들과 잘 소통하고 다른 의견에 귀를 기울이며 타인과의 조화에 강점을 지닌 리더가 성공한다는 기존 통념과 정확히 반대되는 연구 결과다. 이는 스티브 잡스처럼 독단적이고 독선적인 CEO가 성공하는 이유를 부분적으로 잘 설명한다. CEO의 부드러움이 성공에 필수적인 요소가 아닐 수 있다는 점에서 이번 연구는 현대 경영자들에게 많은 시사점과 화두를 제공한다.
[DBR]‘매너 꽝’ 전투적인 CEO가 성공한다

 

3.
흔히 뒷담화에서 상사를 꼬집을 때 “성질 참 더럽다..”라는 식으로 말합니다. 이 때 다른 말이 없으면 성질만 더럽고 일은 못하는 리더입니다. 그런데 “그런데 일은 참 잘한다 말야..”라고 하면 성과를 독창적으로 내는 리더입니다.

개인간의 만남이라고 하면 ‘좋은 성격’을 가진 사람을 누구나 만나고 싶어합니다. 그렇지만 조직이라는 한 배를 타면 다릅니다. 배를 이끌어가야 하는 조타수는 무엇보다 ‘배의 안전한 항해’를 무엇보다 우선에 두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사적인 감정을 과감히 배제하고 조직을 이끌어야 합니다. ‘독선적’,’추진력’이라는 말이 터져 나오기 십상입니다. 그렇지 않으면 망합니다. 온갖 욕을 듣더라도 ‘망한 조직’ 보다는 ‘흥한 조직’이 모두에 좋습니다.

선공후사(先公後私). 말은 참 쉬습니다. 그렇지만 행하기 어렵습니다. 성격이 가로막을 때가 많습니다. 그래서 성질 더러운 리더가 조직에 더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