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내정치, 정치적 자본 그리고 엔지니어

1.
살아오면서 사내 정치를 거의 해본 적이 없습니다. 사내정치를 혐오해서 한 행동은 아닙니다. 사회 생활의 대부분을 경영자 혹은 대표로 살았던 결과일 뿐입니다. 사내정치가 직장에서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뼈저리게 느낀 때가 있었습니다. 회사문을 닫고 몇 년 월급쟁이로 살았던 때입니다. 이런 저런 기획과 목표를 정했지만 별로 이룬 것은 없었습니다. 마지막 1년은 신한은행의 프로젝트 PL로 혼자 일했습니다. 이 때 소감입니다. 벌써 10년전입니다.

굴러온 돌, 박힌 돌
3년동안 다닌 직장을 떠나며

이 때 생각중 일부입니다.

회사도 인간관계의 집합입니다. 이 때 인간관계를 규정하는 핵심요소가 무엇인가에 따라 조직문화등이 결정된다고 생각합니다. 그럼 지금 회사의 핵심요소는 과거입니다. 사회에 첫발을 딛었을 때부터 보고 느꼈던 그 흐름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과거에 기댄 관계속에서 위치하여 무엇을 하고자 하는 생각이 들지 않았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사내정치란 단어를 쓸 환경이 없었죠. 같이 일하는 사람이 몇 명일 뿐입니다.

최근 SNS에서 본 글중 사내정치를 말하는 이야기가 많았습니다.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사내정치는 현실이기때문입니다. 엔지니어링 부문에서는 어떤 이야기가 있는지 찾아보았습니다. The Pragmatic Engineer라는 서비스를 운영하는Gergely Orosz가 쓴 제목이 흥미로운 글이 있더군요.

Internal politics for software engineers and managers: Part 1
Internal politics for software engineers and managers: Part 2

위 글은 유료이용자만 전문을 볼 수 있습니다. 다만 트윗에 올라온 글중 일부를 소개합니다.

The bad type of politics

Why does political have a bad rap? It’s because it usually refers to activities that don’t make friends for people, and ones worth avoiding when possible.

Perception is important when we talk about anything considered ‘political’. You might be doing a selfless action, but if people around you are not aware of that context,they might label you as selfish or political.

Take an example of a staff engineer being part of a promotions committee. This promotions committee rejects the package of a senior engineer that the staff engineer works closely with.

Was the staff engineer being political in vetoing the promotion? Did they act selflishly because they did not stick their neck out for the engineer in question?

But what if this was a promotions setup where anyone with biases recused themselves,as did this staff engineer,stepping outside the room, and not having any input in the discussion or the decision? It’s hard to make a proper judgement without knowing all the details. However, in practice, people will fill out the gaps with what they assume happened, unless given more details.

Perceptions which most people assume as bad politics are these:

• Caring about themselves only. If someone is perceived to only care about their career,their projects ,their work: this person won’t be making friends. No one wants to work with people – or help them – who give nothing in return, unless it helps their personal goals.
• Elbowing others out of the way. Even worse than someone who only looks out for their own interests is someone who pushes others out of the way. For example, an engineer hogging a project and not letting others contribute – and clearly doing this to claim the impact of the project for their promotion – should not be surprised if their teammates talk about them in a negative association.
• Saying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If an engineer is perceived as telling people what they want to hear – and telling completely different facts or opinions to different people – this can bite back when those people talk.This type of situation could come about from seemingly innocent situations with managers or tec h leads. For example,these people might reveal different motivations on why the team is working on a project ,tailoring the reasons for each person they talk with.However, when those people talk,they’ll discover that they’ve been told different stories.
• Manipulating people. More common for people in the position of power and ones who frequently tell different things about the same issue to different people,to pull on different strings. Once the perception about a lead is that they manipulate people, trust with those working with them typically plummets.
• Being inflexible in arguments. Engineers who show no flexibility in discussing their proposals and push for their original idea to go through will be seen as inflexible and pushing only their own agenda. Software engineering is all about tradeoffs, and in a healthy team, all team members bring some level of flexiblity to discussions, finding the common ground that all of the team can get behind.
• All talk and meetings, no coding. A special type of political person is the engieer who never codes and is perceived as an ivory tower architect. This is a tricky perception as when software engineers move to staff and above levels, they are expected to do far more non-coding work and often have no time to be hands-on, working on higher level things. Still, it doesn’t change that staff and above engineers who never touch the codebase, are not oncall, but push through changes that impact engineers in ways they don’t agree with:they’ll often be talked about in a negative setting because they are seen as hands-off while making all these decisions.

우리가 흔히 어떤 사람을, 어떤 개발자를 정치적으로 말할 때 의미하는 바가 한국이나 외국이나 별 차이가 없는 듯 합니다. 개인적으로 제일 싫어하는 인간형.

“말로 코딩하는 사람(All talk and meetings, no coding)

위에 소개한 글을 보면 정치력을 키우기 위해 두가지 직군으로 나누어 조언을 합니다. 첫째는 Manager. 앞서 정치적자본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글도 이에 해당할 듯 합니다. 두번째는 Individual Contributor. 솔직히 저는 생소합니다. 실리콘밸리에서 일하는 분의 글을 보니까 이해를 할 수 있었습니다.

디자인 리드가 수직적 의미의 직급(rank)이라면, 수평적 의미의 직군(track)은 IC(Individual Contributor)다. IC란 자신의 전문 영역을 가지고 근무하는 직군을 의미하는데, 주로 디자이너, 개발자 등이 대표으로 IC 직군에 해당된다. 이곳 실리콘밸리의 디자이너들의 직급 체계를 보면 일반적으로 ‘IC + 숫자’가 조합되어있다.

회사가 IC들에게 기대하는 것은 한 가지, 탁월한 개인적 역량이다. 이 역량은 IC 레벨이 높아질수록 스스로 증명해내야 한다. 그렇기 때문에 IC 직군의 사람들에게는 필요이상의 회의, 프로젝트 관리, 팀 관리 등과 같은 전문 분야 이외의 업무를 상대적으로 덜하게 하거나 거의 없는 환경이 주어진다. 이 같은 환경 속에서 IC들은 시간이 흐를수록 해당 분야의 이른바 고수가 되게 마련다. 만약 회사에서 백발의 할아버지가 코딩을 하고 있다면, 그는 분명 코딩 만렙인 IC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IC 디자이너라면 디자인만 잘하면 된다. 그 외의 것은 그렇게 중요하지 않다.
두 갈래의 커리어 사다리중에서

또다른 글도 이해에 도움을 줍니다.

실은 MBA를 지원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7년동안 일을 하면서 발견하게 된 나의 성향 때문이다. 사회 초년생일때 내 꿈은 삼성이나 현대와 같은 대기업의 사장이 되는것이었다. 중요한 기업의 의사결정에 대한 책임을 지는 동시에, 많은 직원들의 삶에 영감을 줄 수 있는 people manager가 되는게 내 꿈이었다. 하지만, 일을 하면서 내가 점점 느낀 것은 내 성향이 people manager 보다는 지속적으로 현업에 관여하면서 기업에 기여할 수 있는 individual contributor라는 것이었다. 대기업에서 많은 사람들과 부대끼면서 일하기 보다는 소수 인원 위주로 의미있는 뭔가 다른 일을 하고 싶었으며, 그러기 위해서는 다른 skill set 과 인생을 다르게 볼 수 있는 새로운 시각이 필요했다.
Wharton Welcome Week (WWW)출발중에서

구글링을 해보면 사내정치에 신물이 나서 IC로 직군을 바꾼다는 글을 종종 봅니다.IC에게 정치력이 필요할까요? 사내정치가 필요할까요? 결론은 ‘필요하다”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떤 사람들과, 어떤 규모의, 어떤 목적의 프로젝트에 참여할지를 판가름하는 기준중 하나가 정치력일 듯 합니다.

2.
사내정치를 다루는 글이지만 제목이 앞의 글과 다른 의미로 매력적이었던 글.

Political Capital in the Workplace: What’s in your wallet?

사내정치라는 단어 대신에 Political Capital이라는 단어를 사용합니다. 생경하면서도 무언가 뇌리에 박힙니다. CTO로 일하고 있는 Noel Calhoun는 정치적 자본을 위키의 정의를 따라 사용합니다.

Political capital is a metaphor used in political theory to conceptualize the accumulation of resources and power built through relationships, trust, goodwill, and influence between politicians or parties and other stakeholders, such as constituents. Political capital can be understood as a type of currency used to mobilize voters, achieve policy reform, or accomplish other political goals. Although not a literal form of capital, political capital is often described as a type of credit, or a resource that can be banked, spent or misspent, invested, lost, and saved

아마도 “Type of currency used to mobilize voters, achieve policy reform, or accomplish other political goals”라는 문장이 마음에 들지 않았을까 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정치적 자본은 삶의 어느 때 혹은 어느 장소에서도 유용한다고 합니다.

To help accelerate the learning process, I want to cover a key element of office life — Political Capital. Normally that concept is associated with politicians (see Wikipedia’s definition) but it can be applied to any part of your life.

이를 다른 말로 하면 사내정치를 위해서 정치적 자본이 필요합니다. 정치적 자본도 자본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축적(Accumulation)의 과정이 필요합니다. 산업혁명이 신흥 브르조아집단에게 원시적 축적=폭력적인 축적을 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준 것처럼 어떻게 축적을 할 수 있을까요? 글쓴이는 개인적인으로 몇가지 사례를 소개합니다.

사례1)You are in a meeting with several colleagues discussing a thorny issue. It’s clear the issue is not going to be resolved in the meeting but no one seems to know how to bring the discussion to a satisfying end. You volunteer the following “Hey, I think I have a good sense of this issue now, let me write up a note capturing what we talked about today and laying out some next steps. I will schedule a time for us to get back together and finish this up.” (일에 대한 기획 및 추진 이에 따른 신뢰)

사례2)A new person has joined the team and they are struggling to fit in and learn the ropes. You take it upon yourself to reach out to this person and try to slowly integrate them into the team. You invite them to lunch, you check in on them regularly, and bring them to discussions where they can learn what’s going on. (사람에 대한 태도)

사례3)You are a manager and you are in a discussion with your fellow managers and your boss discussing resource allocation for next year. The topic has turned to hiring and who will get slots / reqs to bring on additional staff. You could definitely use more help and so could everyone else but there are more needs than there are slots. In the back of your lizard brain you know the organization would be better off if one of your slots went to a different team, even though it hurts you in the short term. You suggest giving up your slot to the more needy team for the good of the enterprise.(인사에 대한 영향력)

더 나은 팀을 만들고 팀원들이 전적으로 따르는 리더로서의 역할을 함으로써 정치적 자본을 축적한다고 생각합니다. 이를 우리 식으로 표현하면 ‘신뢰’입니다. 직장내 인간관계에서의 신뢰입니다. 정치적 자본중 하나가 신뢰자본이지 않을까 합니다. 축적을 했으면 이제 사용(Spending)해야 합니다. 본격적으로 정치를 해야죠. 역시나 사례입니다.

사례1) Playing devil’s advocate: No one of any skill wants a group of yes people working for them. That said, every time you find yourself as the one person dissenting with the group or pushing back on a proposed course of action, you are absolutely burning PC. You don’t get a pass by trying to hide under the “devil’s advocate” umbrella. Some of you are undoubtedly saying “amen brother” right now because we all know this type of colleague. Pick and choose your battles carefully and don’t waste your PC insisting the team go out for karaoke when everyone wants to race go karts.  

사례2) Proposing a radically new idea to solve a problem: Your team is struggling to meet its goals for the quarter and no matter what you do, nothing seems to be making a difference. You begin to think that everyone is stressed out and that’s actually the problem so you suggest to your boss Crazy Kitten Thursdays where you bring in a dozen kittens for the team to play with until the end of the quarter. Is this a great idea? Probably not but if you have a lot of political capital, you might just have a chance. You propose an idea like this every week and you will be lucky if people still read your emails. 

사례3) Making a mistake and asking for forgiveness: You write an email to your team highlighting everyone’s accomplishments and how proud you are of them. There’s just one problem. You forgot, just plain forgot, one of your direct reports that’s doing a good job. Totally innocent mistake but you didn’t realize it until it was brought to your attention…by the person you forgot. You quickly apologize and resend the email, correcting the record, and noting your bonehead screw-up. You just spent PC if you have some in the bank. Do that too many times and you will be filing for bankruptcy. 

위 사례에서 Devil, Radical, Mistake라는 단어를 뽑을 수 있습니다. 이를 도전이라는 단어로 묶어보면 어떨까요? 도전이라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경우, 그리고 이럴 때 정치적 자본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말로 이해하면.

직업과 직장을 얻고 여러사람과 일을 하면 인간관계가 이루어집니다. 직장이라는 틀로 보면 이해관계가 같지만 개인으로 보면 이해관계가 같을 수 없는 인간관계속에서 개인은 스스로를 위해 정치를 합니다. 정치학적 용어로 사용하면 동원이고 뒷담화로 말하면 ‘내편만들기’입니다. 내편을 만들 때 필요한 것이 정치적 자본으로 이해하면 어떨가요? Noel Calhoun의 글과 비슷한 취지로 쓴 글이 신뢰 자본입니다. 정치적 자본 대신에 신뢰자본을 사용했지만 축적과 지불(대출)이라는 개념으로 사내정치를 풉니다.

3.
주로 부정적인 의미로 사용하는 사내정치. 아마도 우리 사회에 널리 퍼진 정치혐오와 연결할 수 있습니다. 혐오정치는 어떤 속성을 지닌 특정 집단에 대해 부정적 편견과 고정관념을 바탕으로 모욕·멸시·위협하거나 차별 및 폭력을 선전·선동하고 정당화하고 이를 통하여 권력을 장악하고자 합니다. 대화와 토론 그리고 타협 혹은 투표라는 과정을 통하여 방향을 결정하는 것과 다릅니다. 사내정치도 비슷합니다. 사내 정치를 말할 때 뒷담화는 보통이고 중상,모략이 뒷따릅니다.

반대로 자본은 긍정적인 의미로 사용합니다. 노동과 대립하는 개념으로서의 자본이라는 의미보다는 기업을 대신하는 표현으로 경제와 사회 발전에 기여한다는 이미지를 가집니다. 아마 이런 이유로 사내 정치=internal politics라고 쓴글을 보았으면 그냥 스쳐지나갔을텐데 Political Capital이라는 개념을 사용한 글이라 한번 생각해보았습니다.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