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레니얼세대와 스마트베타와 관련한 설문조사

1.
Fintech의 성장배경을 꼽으라고 하면 디지탈에 익숙한 새로운 세대의 등장을 첫손에 꼽아야 합니다. 기술이 발전하고 금융규제가 완화하더라도 이를 이용할 금융소비자가 없다고 하면 새로운 서비스는 존재할 수 없기때문입니다. 이런 시각을 핀테크를 바라보는 해외 보고서들이 가진 일관된 관점입니다. 무언가 새로운 서비스를 내놓으려고 할 때 새로운 세대인 밀레니얼 세대를 분석하고 이들의 특성을 서비스반영하려고 합니다. 하나금융포커스 [제8권 13호]에 실린 밀레니얼 모멘트(millennial moment)의 도래도 이런 시각으로 분석을 합니다.

Download (PDF, 415KB)

좀더 구체적으로 다가가 보죠. 미국의 FINRA가 밀레니얼세대와 투자와 관련한 잘못된 미신을 다룬 보고서를 발간하였습니다. 제목은 Uncertain Futures, 7 Myths about Millennials and Investing입니다.

미국의 젊은 세대를 대상으로 한 보고서이지만 제가 보더라도 생각과 다른 결과가 보입니다. 첫째는 비대면서비스를 선호한다는 것(Myth5), 둘째는 디지탈서비스에 친화적(Myth6)이라고 하지만 현실은 그렇지 않네요. 여전히 금융회사 투자전문가의 서비스를 더 선호한다고 합니다.

Myth 1: Millennials have lofty financial goals.

Reality: Contrary to conventional wisdom, millennial investors and non-investors expect to retire at the standard age of 65. Non-investing millennials have very modest financial goals and are focused on surviving month-to-month. In contrast, the financial goals of millennials with taxable accounts mirror those of Gen Xers and baby boomers, such as “saving enough to retire when I want and live comfortably.”

Myth 2: Income and debt are the key barriers to investing.

Reality: While income and debt are important, 39% of millennials without taxable investment accounts state that not having enough knowledge about investing is also an important barrier.

Myth 3: Millennials are overconfident in general, so they are probably overconfident about investing.

Reality: Far from being overconfident, only 21% of non-investing millennials and millennials with only retirement accounts are very or extremely confident about making investment decisions. This figure increases to 47% for millennials with taxable accounts.

Myth 4: Millennials are skeptical of the financial services industry and by extension, financial professionals.

Reality: Millennials acknowledge and respect the expertise that financial professionals can provide. Nearly three quarters (72%) of millennials working with a financial professional are very or extremely satisfied with their financial professional. Only 15% of millennials not working with a financial professional cite lack of trust as a reason.

Myth 5: Millennials overestimate the investable assets needed to work with financial professionals.

Reality: In fact, millennials underestimate the investable assets needed to work with a typical financial professional. Twenty percent of millennials believe there is no minimum amount needed to work with a financial professional. About six in 10 believe a financial professional would work with them if they had $10,000 or less to invest. Millennials also lack guideposts for pricing financial advice. Forty-two percent of millennials do not know what financial professionals charge for their services. When asked to estimate, they guess high: 77% believe financial professionals charge 5% or more of assets under management.

Myth 6: Millennials gravitate toward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robo-advisors.

Reality: Despite their affinity for technology, 58% of millennials prefer to work face to face with a financial professional, on par with Baby Boomers (60%) and Gen Xers (58%). Only 16% of millennials show strong interest in using robo-advisors.
Like what you see? Click here to sign up for Trader Magazine’s weekly newsletter to get breaking news, exclusive features, the industry photo of the day and more.

Myth 7: Millennials are all the same and have similar investing attitudes and behaviors.

Reality: This is not a homogenous group. For example, urban millennials are 50% more likely than rural millennials to own taxable investment accounts. Thirty-three percent of male millennials are extremely or very confident in their financial decision-making, compared to only 23% of female millennials. Twenty-eight percent of white millennials have taxable accounts compared with 20% of African-American millennials.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어떨까요? 이와 관련한 조사가 없으니 비교할 수 없습니다. 다만 한국과 미국의 밀레니얼세대를 비교할 보고서로 예상을 해볼 수 있습니다. 딜로이트컨설팅이 조사한 결과를 글로 정리한 ‘한국의 밀레니얼, 외국과 어떤 점이 다를까?’입니다.

Download (PDF, 755KB)

앞서 보고서를 보면 한국 밀레니얼 세대는 경제적 낙관지수가 30개국중 20위라고 합니다. ‘빅데이터로 보는 밀레니얼 세대‘도 비슷한 시각을 보여줍니다. 소비력은 낮지만 영향력은 크다고 강조합니다. 투자와 관련하여 보면 ‘비용’이 무척이나 큰 경쟁력입니다.

전 세계에서 같은 밀레니얼 세대를 분석하더라도 시대 배경과 문화 특징은 국가마다 다른 모습이기 때문에 특정 국가의특징을 기준 삼아 그대로 받아들여서는 안 된다. 새로운 소비의 주축이라는 미국의 밀레니얼 세대와는 다르게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기성세대(베이비부머)에 비해 낮은 소비력(경제 능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그들의 ‘소비 능력’보다 더 중요한 것은 주변 사람들의 소비를 이끌고, 타인도 자신이 가진 가치관과 공감을 할 수 있도록 만드는 그들의 ‘영향력’이다. 그렇기 때문에 그들이 가진 돈의 액수보다 그들의 ‘선택’과 ’선택 동기’에 주목해야 한다. 한국의 밀레니얼 세대는 소셜미디어(ex: SNS)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기존 매스미디어의 획일적이고 제한적인 정보 공유를 넘어서는 거대 담론을 형성한다

앞서 FINRA 보고서의 전문입니다.

.

Download (PDF, 2.41MB)

두번째 보고서는 한국에서도 유행중인 스마트베타와 팩터 투자에 대한 조사보고서입니다. 국내의 경우 EFT시장이 성장하면서 Smart Beta에 대한 관심이 커졌다고 삼성증권 전균 위원은 분석하고 있습니다.

ETF는 Passive 상품 중 가장 강력한 투자수단이며, Smart Beta는 Passive 상품의 테두리를 전격적으로 확장시킨 운용전략임. Smart Beta ETF는 Active 운용에서 black-box형태로 운용되던 ‘Factor Investing’을 Rule-based Index로 체계화하고 비용효율적인 ETF으로 상품화하였음(commoditized factor investing). ETF시장이 Smart Beta 개념을 선점하면서 Active 운용까지 잠식할 수 있는 기회를 확보하였음.
2000년대 초반까지 글로벌 ETF시장은 자산(Asset)의 확장에 주력하였으며, 2000년대 중반부터 Smart Beta를 포함하여 운용전략(Strategy)의 다양화를 모색하였음. 국내도 2010년대 중반부터 Smart Beta ETF가 개발되었음. 2017년 이후 국내에서 상장된 주식형 상품 중 Smart Beta ETF 개수는 30%에 육박함. 자산규모의 증가속도는 2015년 이후 월평균 +3.9%를 기록하고 있어 전체 ETF시장 성장률의 1.6%를 크게 상회함. 최근에는 Single-Factor에서 Multi-Factor으로 발전하고 있음.

Smart Beta ETF는 ‘Factor Investing’을 저비용으로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수단이므로, 일부에서는 “자산운용업계의 UBER”라고 평가함. ETF는 금융자산에 대한 접근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였으며, Smart Beta를 통해 자산운용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Solution을 제공함. 국내 ETF시장이 투자자와 동반 성장하는 생태계 구축과정에서 Smart Beta는 ‘불가피한 선택’이자 운용업계의 미래를 투영하는 ‘Crystal ball’임

Download (PDF, 1.33MB)

그러면 해외투자전문가들은 어떻게 바라볼까요? 프랑스 écoles de commerce가 발표한 Publication of the EDHEC-Risk’s 11th European ETF and Smart Beta Survey는 앞서 주제인 스마트 베타와 팩터 투자에 대한 설문조사결과를 다룹니다. 아래는 중요한 결과정리입니다. 어떤 설문을 조사를 하더라도 빠지지 않는 답변이 비용(Costs)입니다.

Since 2006, the increase of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using ETFs in traditional asset classes has increased from 45% of respondents using ETFs to invest in equities and 10% to invest in fixed income, to 91% and 65% respectively in 2016.

Gaining broad market exposure remains the main focus of ETF users for 71% of respondents. Costs and quality of replication are the two motivations for using ETFs: reducing the investment costs, while tracking the performance of the index. Qualitative criteria considered by investors are the long-term commitment of the provider and broadness of the range (38% of respondents for both criteria).

The most important motivation for adopting smart beta strategies is to improve performance and manage risk. In terms of the actual product wrapper, respondents favour passive funds replicating smart beta indices (64%) but also use active solutions, albeit to a lesser extent (44%).

Replication of smart beta strategies are chosen for the following reasons: costs, transparency of methodology and availability of information, which represent the main reasons why passive strategies are normally selected. Discretionary strategies are preferred for the reactivity and dynamism they allow, with 68% of respondents indicating the ease to change portfolio allocation as the principal advantage.

Liquidity and capacity, index construction methodology and transaction costs are respondents most important considerations for assessing smart beta products. There is an important gap between required information and ease of access to this information. For example, data-mining risk and liquidity and capacity, which are crucial for respondents, are among the most difficult pieces of information to obtain.

Looking to the future, 63% of investors plan to increase their use of ETFs in the future despite the already high maturity of this market and the current adoption rates (compared with 55% in 2014 and 57% in 2015).

Lowering investment cost is the primary driver behind investors’ future adoption of ETFs for 87% of respondents.

The vast majority of respondents (94%) plan to increase their investment in smart beta products over the next three years.

Download (PDF, 4.95MB)

2.
아래는 부록입니다. 매일경제신문이 조사한 결과입니다. 애널리스트가 꼽은 ‘베스트 리포트’라는 제목입니다. 몇 일전에 부동산학파에서 소개하였던 김효진 위원의 보고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습니다. 분량을 떠나 내용을 보면 높은 식견을 느낄 수 있습니다. IT를 하시는 분들이면 한화투자증권 김소혜위원의 ‘소프트웨어산업의 변화 – 이제는 구독(Subscription)이 대세다’를 꼭 읽어보시길.

Download (PDF, 3.33MB)


Download (PDF, 2.64MB)


Download (PDF, 5.3MB)


Download (PDF, 3.31MB)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