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장조성자(Market Maker)의 힘

1.
지난 11월 21일 TSE가 Tdex+를 개통하였습니다. Tdex+는 파상생품 매매체결시스템으로 NYSE으로부터 제품을 공급받았습니다. 신 Tdex+는 평균응답속가 5밀리초이고 초당 3.6만건을 처리한다고 합니다. 사실 Tdex+를 홍보하려고 쓰는 글은 아닙니다.   Tdex+가 가동한 이후 TSE가 재미있는 통계자료를 내놓았습니다.


도표가 나타내는 의미를 아시겠습니까? 문장으로 표현하면 이렇습니다.   mini TOPIX Futures의 거래량은 1000%가 늘어났고 JGB Futures는 147% 그리고 TOPIX futures는 19%가 늘어났다는 뜻입니다.

2.
TSE는 Tdex+의 뛰어난 성능때문에 거래량이 늘어났다고 이야기하려는 듯 합니다. 그렇지만더 중요한 요소는 다른 것입니다. 바로 Tdex+ 가동과 함께 시행한 새로운 제도입니다.

파생상품시장 육성을 위한 TSE 정책

위의 글에서도 자세히 소개하였던 시장조성자=Market Maker입니다. 두가지 시사점을 갖습니다.

첫째는 KRX의 파생상품시장을 위협하는 수준은 아니지만 TSE의 파생상품시장의 유동성이 커지고 있다는 사실입니다. 현재 국내 해외선물거래를 하는 트레이더들이 작지만 향후 KOSPI200 옵션상품뿐 아니라 Mini TOPIX 선물도 도전해볼만한 상품이 아닐까 합니다. 더군다나 국내선물사는 TSE가 코로케이션서비스를 제공하고 근접서비스를 제공하는 곳도 많기때문에 다양한 모델을 만들 수 있지 않을까요?

둘째는 아직 개정안이 통과되지 않아서 성급하지만 ATS가 제도화하면 ATS가 적극적으로 시장조성자제도를 만들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는 생각입니다. 만약 ELW상품에 LP제도가 없었다면 지금처럼 성장했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ATS를 통한 경쟁 및 경쟁력강화를 목표로 한다면 개방적인 자세가 필요할 듯 합니다.

2 Comments

  1. 워스서

    tse에 시장조성자가 필요했던 것은 기본적으로 유동성이 너무 약했던 것은 아닐까요?
    한국의 선물옵션 시장은 유동성이 너무 넘쳐나서 문제인거 같습니다.
    파생상품이 현물시장에 대한 헷지 역할을 하는게 본래 취지인대
    한국의 파생은 실물을 리딩하고 있잖아요.
    제 개인적으로는 파생 시장의 수수료를 현물시장 수준으로 높여서
    현물시장에 유동성이 좀 더 집중됐으면 하고 바래봅니다.
    주식거래 좀 한다하는 분 중에 매매하기 전에 선물흐름을 집중해서 먼저 보라고 하자나요.
    현물을 매매하기 위해서 파생상품을 먼저 보라는게 참 아이러니 합니다

    Reply
    1. smallake

      너무 유동성이 약했다는 말이 맞죠. 그런데 왜 유동성을 키우려고 했을까요? 파생시장을 키우기 위함이죠. 파생시장을 키우려는 이유는 유가증권시장에 비해 너무 시장규모가 작기때문입니다.

      하여튼 투자자가 어떤 상품을 선택해야 하는지 정답은 없다고 생각합니다.다만 어떤 시장과 상품을 택하든 공부를 해야겠죠. 장기투자를 하거면 기업의 가치평가를 할 수 있는 공부를 하든지 해야죠. 기술적 지표를 이용하려면 그 또한 여러가지 공부를 해야죠.

      투자=돈을 벌겠다는 욕망입니다. 눈이 욕망에 히지 말고 이성으로 통제를 하자. 그것이 공부라는 생각입니다.

      Reply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