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의 기쁨과 슬픔 vs 구디 얀다르크

1.
996 일문화 vs 월화수목금금금에 이어집니다.

미국의 열정 문화가 아시아로 넘어와서 변질된 결과가 ‘996 일문화’나 ‘월화수목금금금’일까요? 저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사실 실리콘밸리도 성공을 위해 초과노동을 찬양하는 문화가 팽배합니다.

The fetishization of hours clocked in the office is nothing new for this crowd. Silicon Valley’s sense of self-worth is deeply tied to the idea that hard work is a prerequisite for success.

The Gospel of Hard Work, According to Silicon Valley은 위와 같이 실리고밸리의 문화를 정의하면서 장시간노동을 둘러싼 트윗논쟁을 소개합니다.

뉴욕타임즈의 칼럼은 우번 개발자가 장시간노동으로 자살한 사건을 소개합니다.

The truth is that much of the extra effort these entrepreneurs and their employees are putting in is pointless anyway. Working beyond 56 hours in a week adds little productivity, according to a 2014 report by the Stanford economist John Pencavel. But the point may be less about productivity than about demonstrating commitment and team spirit.

“Everyone wants to be a model employee,” said Anim Aweh, a clinical social worker in the Bay Area who sees a lot of stressed-out tech workers. “One woman told me: ‘The expectation is not that you should work smart, it’s that you should work hard. It’s just do, do, do, until you can’t do anymore.’ ”

This has led to tragedy. Last year, Joseph Thomas, an engineer at Uber, committed suicide. His widow blamed the company’s gung-ho culture, with its long hours and intense psychological pressure.
In Silicon Valley, Working 9 to 5 Is for Losers중에서

Lab Rats: How Silicon Valley Made Work Miserable for the Rest of Us의 저자 Dan Lyons은 책에서 실리콘밸리가 일터를 비참하게 만든 요소를 아래와 같이 소개합니다.

According to Lyons, there are four elements that have turned employees into lab rats:

MONEY: We make a lot less today than we did a generation ago.
INSECURITY: We live in constant fear of losing our jobs.
CHANGE: New technologies, new methodologies, kooky new arrangements for where we work and how we work—we are overwhelmed by a workplace that never stays the same for very long.
DEHUMANIZATION: Once upon a time we used technology, but today technology uses us. We’re hired by machines, managed by them, even fired by them. We’re monitored and measured, constantly surveilled.
Book Review – Lab Rats: How Silicon Valley Made Work Miserable for the Rest of Us중에서

2.
이런 실리콘밸리의 유행중 하나가 스크럼과 같은 애자일문화입니다. 그중 애자일에 근거한 소프트웨어개발방법인 스크럼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판교에서 일하는 많은 사람들이 공감한다고 하는 소설 ‘일과 기쁨과 슬품‘의 첫머리는 이렇게 시작합니다.

“합시다. 스크럼.”

오전 아홉시. 대표가 가장 좋아하는 스크럼 시간이다. 스크럼이란 이천년대 초반부터 미국 씰리콘밸리를 중심으로 시작된 애자일 방법론의 필수 요소로, 우리 회사 같은 소규모 스타트업에서 널리 쓰이는 프로젝트 관리 기법이다. 데일리 스크럼의 대원칙은 이렇다. 매일, 약속된 시간에, 선 채로, 짧게, 어제는 무슨 일을 했는지 그리고 오늘은 무슨 일을 할 것인지 각자 이야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마지막에 스크럼 마스터가 전체적인 진행 상황을 점검하는 것. 서로의 작업 상황을 최소 단위로 공유하면서 일을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함이다. 애자일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바탕으로 한 스크럼이라면 이 모든 과정이 길어도 십오분 이내로 끝나야 했다. 하지만 우리 대표는 스크럼을 아침 조회처럼 생각하고 있으니 심히 문제였다. 직원들이 십분 이내로 스크럼을 마쳐도 마지막에 대표가 이십분 이상 떠들어대는 바람에 매일 삼십분이 넘는 시간을 허비하고 있었다.

왜 이런 일이 일어났을가요? 스크럼의 기본원칙을 정의한 6 Main Principles of Scrum Methodology를 보면 실마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있는 개발자와 이들 사이의 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적인 조직, 권한을 위임한 조직’이 전제로 느껴집니다. 계층화한 조직에서 스크럼을 적용하면 그저 일방통행식 업무지시이거나 아침조회 일뿐입니다.

The aspects and processes of Scrum can be modifi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project, or the organization using it, but Scrum principles are non-negotiable and must be applied as described in the framework presented in A Guide to the Scrum Body of Knowledge the SBOK™ Guide. Keeping the principles intact and using them appropriately instills confidence in the Scrum framework with regard to attaining the objectives of the project.

  • Empirical Process Control—This principle emphasizes the core philosophy of Scrum based on the three main ideas of transparency, inspection, and adaptation.
  • Self-organization—This principle focuses on today’s workers, who deliver significantly greater value when self-organized and this results in better team buy-in and shared ownership; and an innovative and creative environment which is more conducive for growth.
  • Collaboration—This principle focuses on the three core dimensions related to collaborative work: awareness, articulation, and appropriation. It also advocates project management as a shared value-creation process with teams working and interacting together to deliver the greatest value.
  • Value-based Prioritization—This principle highlights the focus of Scrum to deliver maximum business value, from early in the project and continuing throughout.
  • Time-boxing—This principle describes how time is considered a limiting constraint in Scrum, and used to help effectively manage project planning and execution. Time-boxed elements in Scrum include Sprints, Daily Standup Meetings, Sprint Planning Meetings, and Sprint Review Meetings.
  • Iterative Development—This principle defines iterative development and emphasizes how to better manage changes and build products that satisfy customer needs. It also delineates the Product Owner’s and organization’s responsibilities related to iterative development.

중앙일보의 연재기사인 ‘한국의 실리콘밸리 판교’도 이런 분석을 합니다.

미국서 배워온 스크럼, 판교선 직원 쪼는 시간
일의 기쁨과 슬픔이 묘사한 스타트업 부조리극

다만 실리콘밸리는 다르다고 하지만 제가 보기에 실리콘밸리나 판교나 중국이나 비슷합니다.

실리콘밸리 시늉, 실상은 너무 다른 판교 풍속도

그렇다면 성공이라는 목표에 대해서는 창업자와 직원이 한마음이지 않을까. 소설과 현실은 이마저도 그렇지 않다고 지적한다. “저희 대표나 이사는 매일매일 그런 생각을 하겠죠? 어떻게 돈 끌어오고, 어떻게 돈 벌고, 어떻게 3퍼센트의 성공한 스타트업이 될지 잠들기 직전까지 고민하느라 걱정이 많을거에요. 전 퇴근하고 나면 회사 생각을 안하게 되더라고요.”(『일의 기쁨과 슬픔』 9페이지)부모 집 창고를 빌려 마음 맞는 동료들끼리 창업해 몇달간 밤을 새우다시피 해서 만든 제품·서비스가 대박 나면서 주식 부자가 되는 얘기는 실리콘밸리의 전형적인 성공 스토리다. 하지만 창업자에게 회사의 성공을 위해 헌신하는게 지상과제라면 직원에겐 ‘워라밸(일과 삶의 균형)’이 더 중요할 수 있다.

판교만 그럴까요? 판교처럼 IT와 관련한 회사들이 많이 자리잡았지만 규모가 작은 곳이 많은 구로디지탈단지. 소설은 다르지 않거나 더 나쁘다고 이야기합니다. ‘구디 얀다르크’라는 소설이 그렇습니다.

“가디와 구디의 회사 여럿을 거쳤다. 너 말고 일할 놈 널렸다며 일상처럼 벌어지는 인격모독, 회사 자리마다 벌어지던 성폭력, 숫자로만 존재하던 휴가. 내가 누구인지도 잃어버린 채 3년을 살았다. … 그리고 어느새 나는 ‘구디 얀다르크’가 돼 있었다.”

구디 얀다르크. ‘구로디지털단지의 이안다르크’의 준말이다. ‘구디’에서 일하는 주인공 사이안은 대기업, 스타트업, 협력업체, 프리랜서를 거치며 불안정한 노동에 시달리는 IT노동자의 삶을 온몸으로 살아낸 인물이다. 그는 노동조합 설립에 함께하며 ‘구로디지털단지의 잔다르크’란 뜻의 ‘구디 얀다르크’로 불리게 된다.제5회 황산벌청년문학상 수상작 <구디 얀다르크>는 한국 IT산업의 역사와 노동자들에 대한 생생한 보고서와 같다.
미싱 대신 노트북 든 IT노동자들의 잔혹사 담았다중에서

996 일문화처럼 중국의 스타트업도 비슷합니다.

Crazy Work Hours and Lots of Cameras: Silicon Valley Goes to China
Quantity or quality? China’s ‘996’ work culture comes under scrutiny
No sleep, no sex, no life: tech workers in China’s Silicon Valley face burnout before they reach 30

3.
앞서 소개한 책의 제목처럼 치즈를 먹기 위해 쳇바퀴를 무한히 도는 Lab Rats가 되지 않으려면? 좀 오래전 글이지만 소설가 장정일씨의 칼럼을 소개합니다.

섬과 숲과 혹성(화성)에서 벌어진 별개의 사태를 하나의 시각으로 묶어준 것은, 뒤늦게 읽게 된 이원석의 ‘거대한 사기극’(북바이북, 2013) 덕분이다. 지은이는 이 책에서 오늘날 그 어떤 종교보다 강력한 신흥 종교로 등극한 자기계발과 프로테스탄트(개신교) 세계관 사이에 밀접한 연관성이 있다는 것을 파고들면서, 자기계발이 유럽이 아닌 미국에서 성황을 이루게 된 이유를 분석한다. 지은이는 자기계발 논리가 개신교 윤리의 세속화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서, 그 시원으로 칼뱅의 예정론을 꼽는다. 신이 누구를 구원하고 말지는 미리 예정되어 있으나 내가 그 속에 들어있는지 없는지는 알 수 없다는 칼뱅주의 특유의 모호한 예정론이 “근면과 금욕을 통한 현세에서의 성공은 내세에서의 구원의 증거(보장)”라는 프로테스탄트 윤리를 낳았다.

리들리 스콧 감독에게 종교가 있는지는 알 수 없지만, 디포가 강경파 칼뱅주의자들의 분파인 영국 청교도였으며, 소로 또한 청교도와 깊은 교류 끝에 생겨난 미국 초절주의 철학자라는 것은 널리 알려져 있다. 디포와 소로의 삶과 사상이 근면과 금욕을 통해 신을 향한 자신의 신실한 믿음을 흔들림 없이 다지고, 지상에서 이룩한 부의 성취가 곧바로 구원의 확증이 되는 칼뱅주의에 뿌리를 두고 있다는 것은 매우 흥미롭다.

근면과 금욕을 내세우는 프로테스탄트 윤리가 자기계발을 강박적으로 강요하는 자기계발 이데올로기를 낳은 사상적 온상이라면, 청교도가 영국 정부의 박해를 피하기 위해 선택했던 신세계의 미개척 상황이야말로 자기계발을 세속화시킨 비옥한 토양이다. 초창기의 미국 개척민들에게는 자신을 지켜줄 국가도, 변변한 사회도 없었다. 외부 조력자를 찾을 수 없었기 때문에 개척민들은 ‘스스로 도운다’라는 자기계발 이데올로기를 신성시하게 되었다. 소로가 13년 동안 서신을 주고받았던 어느 친구에게 “누구나 이 세상에서 홀로이며, 따라서 누구의 소개 편지도 없이 홀로 신과 마주할 것”을 충고했을 때, 거기서 울려 퍼지는 것도 미국적 이데올로기로서의 자기계발 메시지다.

미국에서 세계로 퍼져나간 자기계발 이데올로기는 사회적으로 인프라가 잘 갖추어지지 않은 “미국이라는 특정한 환경”에서 탄생했으며, 자기계발을 권하는 사회는 “구조에서 개인으로 초점을 돌리게 만들고, 개인에게 무한 책임을 지운다는 점”에서 명백한 사회적 세뇌요, 책임 회피다. 지은이는 한국에서 자기계발서가 불티나게 팔리는 이유를 현재의 신자유주의 상황이 미국의 미개척 상황과 같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사회안전망과 연대가 강화되지 않는 한, 불안 대신에 확신을 찾으려는 개별적인 노력이 ‘닥치고, 자기계발!’에 몰두하게 한다.

자기계발은 일개 사원에게 사장의 마인드를 갖게 하고, 무한경쟁을 내면화시키는 것으로 신자유주의에 알맞은 주체를 주조한다. 자기계발에 빠져들면 들수록 국가의 역할을 부정하게 되는데, 이 역시 신자유주의 이론과 정책이 선호하는 사고다. 자기계발 이데올로기의 또 다른 효과는 “새로운 유형의 지배계급이 자신을 드러내는 동시에 감추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즉 신흥 엘리트(금수저)들은 날 때부터 3루에 가 있는데도, 자기 노력으로 거기에 갔다고 대중을 우롱한다. ‘자기계발’의 가장 흔한 미국식 표현이 ‘self-help’라는 것을 사족으로 덧붙인다.
자기계발이라는 환상중에서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