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약과 SW개발회사의 수익모델….

1.
오늘 조선일보를 보다가 우연히 기사를 하나를 보고 바로 프로그램 하나를 설치하였습니다. 이스트소프트에서 개발한 “알약”이라는 무료백신프로그램입니다. 단순한 백신프로그램이 아니더군요. 제가 좋아하는 프로그램중 System Mechanic이라는 외국프로그램이 있는데 이 프로그램과 비슷하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그동안 제가 알고 있는 이스트소프트의 수익모델은 소프트웨어를 개발해서 일반개인용 사용자에게는 무료로 보급하고 – 물론 광고를 게재하기는 하지만 – 관공서와 기업을 대상으로 유료로 해서 수익을 창출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한발 나아가서 “알약”이라는 백신까지를 만들었고 “카발온라인”이라는 게임까지 진출한다고 하니까 배경이 무척이나 궁금했습니다.

이런 글을 보았습니다.

일반 소프트웨어 사업을 진행하다 게임사업을 시작한 이유는 무엇인가?
김대표: 소프트웨어 개발사로서 사업영역을 확대시킬 모델을 찾던 중 필연적으로 게임사업을 선택하게 됐다. 어플리케이션 사업은 정품사용을 전제로 진행되는 것인데, 소프트웨어 정품사용 인식이 부족한 우리나라에서는 사실 한계가 있다. 실제로 2002년 알집의 무료화(개인은 무료, 직장과 관공서 등 단체만 유료) 때에도 예상만큼 수익이 나오지 않았으니 말이다. 해외진출을 위해서도 어느정도 회사의 규모를 키울 필요가 있는데, 어플리케이션 사업만으로는 힘들다고 판단해 내수시장에서 덩치를 키울 수 있는 게임사업을 선택하게 됐다.굳이 한 가지 더 이유를 들자면 알집을 만든 1등 공신 민영환 이사가 게임사업을 해보자고 강력히 주장했기 때문이다(웃음).

우리나라에서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수익이 사실상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어플리케이션사업만으로는 회사성장에 한계가 있다는 이야기…그래도 시장에서 나름대로의 브랜드파워를 가지고 있는 회사에서 이런 이야기를 하니까 다른 중소업체들이 어플리케이션개발로 시장에서 승부를 보는 것이 쉽지 않을 수 밖에 없죠.

이제 재미난 관전 포인트가 남았습니다. 90년대후반 공개백신프로그램인 V3를 보급하면서 시작한 안랩의 반응과 대응입니다. 신문에 난 대응이 이렇습니다.

안철수연구소측은 “알약은 루마니아산 백신인 ‘비트디펜더’를 가져다 만든 제품”이라고 밝혔다. 안연구소는 또 “이스트소프트는 전문 보안 업체가 아니기 때문에 새로운 바이러스가 나타나 큰 피해를 일으킬 때 즉각적인 대응이 힘들다”고 지적하고 있다.
한국에서도 무료 백신 시대 열린다중에서

원천기술이 국산이 아니다라는 일종의 민족주의적인 냄새가 나네요. 제가 사용해본 백신제품중에서 제일 좋았던 제품인 Kaspersky를 기반으로 NHN에서 무료백신으로 출시하려고 한 PC클린이 무산된 것이 무척이나 아쉬웠는데. 기술과 서비스를 가지고 경쟁할 수 밖에 없는 상황입니다. 인터넷으로 하나될 수 있는 현재 상황에서 Business Network를 국제화해서 사업모델을 만들 수 있는 것도 능력이라고 생각합니다. “알”시리즈로 획득한 국내외 지명도를 기반으로 한 올바른 선택이라고 생각합니다. 레드오션이라고 할 수 있는 백신시장에 “무료백신”이라는 전략으로 블루오션전략을 취하는 것도 괜찮고.(?)

97,8년 아래한글을 살리기 위한 운동을 했던 때와는 많이 다릅니다. 안철수연구소도 변화하는 시장환경에 대등하여 새로운 전략을 짜야 할 때인 듯하네요…

(2014.04.03년 추가)
2007년의 글이니까 6년이 흐른 현재의 모습입니다. 스타트업 기업이 착실히 성장하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습니다. 또하나 경영자가 보이는 리더십이 초지일관하기 힘들다는 것도 알 수 있습니다.

문제는 이스트소프트가 지난해 본사기준으로 영업실적이 적자전환했다는 점이다. 매출액은 매년 줄어드는 추세고, 계열사 등과 연동한 연결기준 실적을 보더라도 적자를 면치 못하고 있다. 이스트소프트는 지난해 본사기준 임직원의 총 급여로 퇴직급여와 복리후생비를 제외하고 130억 원을 지출했다. 회사의 어려운 시기 퇴직금 중간정산분만 전체 급여의 10%를 대표이사가 챙겨간 셈이다.

이스트소프트의 지난해 본사기준 매출액은 270억 원으로 전년대비 5.4% 줄었다. 영업실적은 손실 13억 6200만 원이 발생하며 전년대비 적자전환했다. 매출액에서 매출원가를 뺀 매출총이익은 101억 원이 시현했으나 판매비와 관리비(이하 판관비)를 114억 6300만 원이나 소요해 영업실적에 악영향을 끼쳤다. 여기에 종속기업투자주식손상차손이 24억 원 발생하며 당기순손실은 35억 원으로 집계됐다.

이스트소프트 일본법인이나 줌인터넷 등 계열사를 포함한 이스트소프트의 연결기준 실적도 초라하다. 매출액은 365억 원으로 전년대비 16.5% 늘었으나, 영업손실은 36억 원으로 전년에 이어 적자가 지속됐다. 당기순손실도 43억 원으로 전년대비 적자지속이다.
‘적자’ 이스트소프트, 대표이사 거액연봉 논란중에서

1 Comment

  1. Adeurian

    V3도 마케팅의 일부이지만은 자신들으 실력을 향상 시켰으면 합니다.

    카스파스키같은 경우는 인지도나 그 능력으로 인해서 모든 사람들에게 알려지고 있는것이지, 그 쪽에서 마케팅이나 민족주의를 내세우지는 않았던것 같습니다.

    실력을 갖추고 제대로 하면은 그만큼 잘 될것인데, NHN처럼 기존의 업체들의 의해서 막히지 않았으면 합니다.

    Reply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