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목을 보고 눈이 휭둥그래 커졌습니다. 기사 제목이 너무 자극적이었습니다.
“미국주식 단타매매 온상지는 중국”
기사를 보면 아주 재미있습니다.
뉴욕타임스(NYT)는 9일 베이징발 기사를 통해 미국 주식을 단타 매매하는 중국인들이 1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된다고 보도했다.미국과 캐나다 주식거래 업체들이 자국에서는 수익성이 낮아 인건비가 싼 중국에서 대졸생들을 고용해 단타 매매 외주를 주는 바람이 불고 있다는 것이다.중국의 화이트칼러 고용시장이 부진한 탓에 보장된 급여가 적지만 한 몫 잡겠다는 대졸생들의 한탕주의와도 맞아떨어졌다.
뉴욕 JP모건에서 근무하다가 레이저 트레이드로 옮겨 베이징에서 중국 단타족들을 관리하는 25살의 킹 찬 씨는 “이들은 1년 이내인 4∼5개월 근무하다가 퇴사하지만 지난 두 달 동안 약 200명이 지원했다”고 말했다.캐나다에서는 한 달에 4000∼5000달러를 줘야 단타 매매족을 구할 수 있다고 한다.
이렇게 채용된 중국 단타 매매족들은 미국 주식거래 시간에 맞춰 밤 9시30분부터 새벽 4시까지 하루 평균 100번 이상 샀다가 팔았다를 반복해 수십만∼수백만주를 거래한다.매수한 주식을 갖고 있는 시간은 5분 이내며 아무리 적더라도 이익이 나면 매도한다.단타 매매족 20명을 두고 있는 레이저 트레이드는 하루 500만주를 거래한다.
외인부대인 중국의 단타 매매족들이 한 달에 받는 돈은 200∼300달러에 불과하다.일부는 한달에 1만달러를 벌어들인다.단타 매매를 통해 수익이 나면 이 가운데 단타 매매족이 10∼50%를 챙기고 나머지는 주식거래 업체와 투자자들이 배분하는 구조다.
미국 주식 단타 매매 온상지는 중국중에서
위의 기사는 뉴욕타임즈에 실린 기사를 번역하였습니다. 뉴욕타임즈에 실린 기사 제목은 이렇습니다.
Day Trading Still Alive, Outsourced to China
왜 미국이나 캐나다 트레이딩회사가 중국으로 진출하였을까요? 2001년 미국(캐나다) 자본시장구조를 개편하면서 트레이더가 얻을 수 있는 줄었습니다. 이 때부터 트레이딩에서 손을 터는 경우가 늘었습니다.
Before, when a trader could earn $4,000 to $5,000 a month, Canadians wanted to do it,” he said. “But if it’s $1,000 they won’t. So it’s like anything else: outsource to China.
때문에 해외에서 싼 트레이더를 고용하여 – 정확히 말하면 고용도 아닙니다 – 트레이딩사업을 벌일 생각을 한 사람들이 생겨났습니다.시점은 2007년쯤입니다. 이 때 비슷한 모델을 채택한 회사가 Swift Trade, Title Trading, Hold Brothers등입니다.
위의 회사들이 채택한 모델은 이런 듯 합니다. 법의 헛점을 파고들어 중국에서 해외로 직접 트레이딩 – 이점이 중요합니다. 직접 트레이딩이 모델의 핵심입니다 – 을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듭니다. 중국당국에 신고한 계좌든, 외국인(미국인등)이 보유한 계좌로 투자를 하는 트레이더를 채용합니다. 비용을 절감하려고 인금은 없고 수익분할구조입니다. 앞서 기사에서 나왔듯이 10~50%가 트레이더몫입니다. ?기사에 의하면 명확하지 않는 점은 손실을 봤을 때의 헤지수단입니다. 기사상으로 보면 소프트웨어에서 위험이 어느 수준이상이면 반대매매가 일어나도록 한 듯 합니다.
2.
읽으면서 지나간 기억이 하나 떠오릅니다.
2003년을 전후한 때입니다. 미국 마이다스트레이드증권이라는 회사가 한국에 등장합니다. 지금은 사라진 한국CNA와 제휴하여 미국에 한국형HTS를 도입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다시 얼마후 한국예탁원 및 뱅크어브어메미라카와 함께 미국주식 예탁보관서비스를 한다고 합니다. 저에게 연락이 왔습니다. 지금은 골드브릿지증권으로 바뀐 일은증권을 위해 FIX기반으로 HTS를 개발하자는 제안이었습니다. 계약을 맺고 작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흐지부지.
제 경험보다는 한국계 미국인이 선택한 모델이 떠오릅니다. Swift Trade와 같은 회사와 달리 Midastrade는 브로커였습니다.우리나라 최초로 마진FX상품을 KB선물과 제휴하여 중개했던 SNCinvestment는 한국계 미국인 대표였습니다. 선진시장인 미국에서 많은 비즈니스모델을 접했던 분들이 “스위프트 트레이드와 같은 모델을 도입할 생각을 왜 하지 않았나” 의문입니다.
한국트레이더가 미국회사의 보유계정을 이용하여 미국과 같은 해외주식을 트레이딩을 하면 불법인가? 만약 트레이더가 자기 자산으로 투자를 하면 자본시장법이나 증권거래법을 위반합니다. 마찬가지 이유로 마진FX를 거래하고자 하는 투자가가 미국에 직접 계좌를 개설하면 불법입니다.그렇지만 한국법으로도 중국사례는 불법이 아닐 듯 합니다.
또다른 모델이 있습니다. 미국자본인지 검은 머리 외국자본인지 알 수 없지만 해외자본을 국내에 들여와서 한국인 트레이더를 고용하여 한국자본시장에 투자하는 회사가 있습니다.의문입니다. 들리는 소문으로는 만만치 않은 이익을 내고 있다고 하는데 비슷한 모델을 택하는 또다른 경우를 들어보지 못했습니다. DMA트레이딩서비스를 통해 증권사로부터 싼 값을 좋은 서비스를 제공받기 때문일까요? 그러면 위의 회사는 DMA서비스를 이용하면 되지 왜 직접 트레이딩이라는 선택을 하였을까요?
좀 긍정적으로 중국사례를 놓고 상상력을 발휘해보죠. 국내에서 번성하고 있는 주식담보 대출서비스가 있습니다. 핵심은 담보비율을 실시간으로 계산하여 위험이 발생하면 반대매매가 나가도록 하는 알고리즘(?)입니다. 저도 몰랐지만 이 기술을 놓고 법적 소송까지 벌였다고 하네요. 저도 2004년에 개발했던 시스템인데.(^^)
주식담보 대출서비스의 위험관리시스템과 해외자본을 결합합니다. 그리고 한국트레이더를 고용하여 해외 주식을 매매합니다. 국내증권사를 통할 필요가 없습니다. 해외자본은 자기자본이 들어간 계좌를 한국트레이더에게 제공합니다. 법적인 논란을 피할 수 있습니다.
가능할까요?
3.
기사를 보면서 들었던 의문이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는 HFT가 주요한 흐름입니다. 시간으로 보면 데이트레이딩은 고빈도매매의 과거입니다. 그런데 데이 트레이딩은 더이상 미국에서 비즈니스모델로 성립할 수 없다고 합니다.제목을 보면 Still이라는 단어를 씁니다. 왜?
두가지 상상을 해봅니다. “적은 급여를 받고 회사를 위해 데이트레이딩을 할 바에 내가 직접 투자 하자”는 트레이더가 대세가 아닐까합니다. 다른 이유로 HFT는 데이트레이딩에 비해 막대한 자본을 필요하기때문에 쉽게 모델을 바꿀 수 없기때문이라는 생각입니다.
솔직히 기사의 핵심은 아웃소싱입니다. 급여를 지급하지 않고 성과분배모델이라 더 트레이더에게 불리합니다. 지적 노동력의 착취입니다. 그렇지만 누군가는 직업을 원하기 때문에 무조건 부정할 수도 없습니다.
“국가도 일자리를 만들어 주지 못하면서”
대한민국도 다르지 않습니다. 어떤 이에게 일자리가 더 중요합니다.
그래서 결론. 트레이딩으로 수출합시다…..
국내에도 이같은 매매전문 소형firm이 여럿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미국과 캐나다의 Market taker 거래제도로 인해 유동성 공급자에게 수익을 배분하는 방식이 이같은 소형 전문거래 firm을 양상하고 있습니다. 젊은 친구들이 동물적 감각으로 중빈도(?)거래를 하면서 손실이 커지면 그자리에서 out되고 새로운 trader를 고용하는 방식이죠. 관리자는 어쨌거나 돈을 벌고 Trader는 계속 바뀝니다. 젊은 나이에 관리자로서 꽤 부를 축적한 사장님(^^)도 있다네요.
우리 KRX도 회원의 진출입을 보다 확대하고 private market – maker 제도를 도입한다면 고용창출과 유동성 확대라는 두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을텐데.. ^^;
국내에도 오프쇼어 아웃소싱을 받는 업체가 있었네요.
중국은 현재 몇 만명이라고 하던데 한국은 작다고 하니가 몇 십명? 아무튼 세상사는 사람의 모습이 다르지 않네요.
글을 쓰기전에 Swift Trade를 검색하니가 악명이 높더군요. 다들 트레이딩이 무엇인지 알면 그만두라고 합니다. 중국이든 국내든 마찬가지겠죠.
한국에 마켓메이킹 제도를 도입한다?음. 요즘 말하면 입이 아프죠. 감독당국이나 회원사들이 알아서 하겠죠.
변화 보다는 현상유지를 바라는 힘이 더 큰게 현실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