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를 이용한 information arbitrage는 실재하는가?

1.
지난 해 9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의 결정을 공식 발표하기 직전 시장은 어떻게 알았는지 먼저 반응하였습니다.

경제뉴스와 고빈도매매
Information Arbitrage on High Frequency Trading Tactics

Nanex의 데이타 분석자료를 근거로 내부자거래라는 주장이 있었습니다. 이후 SEC, CFTC이 조사를 하였습니다만 명확히 결론이 나지 않았습니다. 몇 일전 월스트리트저널이 이와 관련한 흥미로운 연구결과를 보도하였습니다.

싱가포르경영대학교의 게나로 버나일 등 3명의 저자는 이날 사회과학연구네트워크(SSRN))에 올린 논문에서 “1990년대 후반부터 2013년 6월까지의 하이프리퀀시트레이딩(HFT.초단타매매)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언론이 Fed의 발표 내용을 미리 접할 수 있었던 기간에 초단타매매자들이 사전에 정보를 인지하고 거래에 나섰다는 확실한 증거를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Fed를 비롯한 미국의 다른 정부기관들은 특정시점까지의 보도 제한 시간(엠바고)를 걸어놓고 미리 기자들에게 발표 자료를 제공하는 방식을 취해왔다.

이들은 특히 Fed가 시장의 예측과 다른 발표를 내놓기 직전에 자산가격이 비정상으로 상승하고 주문량이 불균형을 이룬 것을 확인했다며 엠바고 방식은 정보가 사전에 유출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에 적절치 않다고 강조했다.
Fed 정책, 언론발표전 사전유출 의혹중에서

이와 관련한 원문 기사입니다.

Researchers Find Fed Lockup Procedures Looking Leaky

기사를 읽으면서 미국 문화가 흥미로웠습니다.

“주장을 하더라도 충분한 근거로 주장을 합니다.”
“주장이 사실인지, 아닌지를 데이타와 실험을 근거로 하여 연구하여 가부를 증명합니다.”

한국과 여의도의 문화와 너무 다릅니다.

2.
위에 인용한 논문입니다. 한국도 이와 비슷한 논문이 나왔으면 합니다.

Can Information Be Locked-Up? Informed Trading Ahead of Macro-News Announcements

Download (PDF, 2.65MB)

Leave a Comment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이 사이트는 스팸을 줄이는 아키스밋을 사용합니다. 댓글이 어떻게 처리되는지 알아보십시오.